정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란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인 갑상선이 호르몬의 결핍으로 인하여 체내에 필요한 갑상선 호르몬인 트리요오드티로닌과 티록신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전신의 대사 과정이 느려지는 질환을 말한다. 주로 중년과 노년의 어성에서 발생하며, 가장 흔한 형태는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갑상선세포들이 파괴됨에 따라서 갑상선이 작아지는 것이다.
증상
갑상선 호르몬이 적게 나오는 경우에는 대사 과정이 지나치게 느려져 변비가 생기거나 몸이 늘어져 아무 것도 하기 힘든 상태가 된다. 얼굴과 손발, 눈 주위가 부어오르는 부종이 있으며 추위를 잘 견디지 못해 갑자기 움직이면 근육의 경직과 경련을 겪게 된다. 피로하고 졸리며 두뇌 회전이 느려서 기억력이 감퇴하고, 월경과다, 근육통 등이 나타나며 식욕은 감퇴되었는 데도 체중은 증가한다. 한편,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 기능 항진과 달리 심장박동이 1분에 60회 정도로 느려진다. 고혈압으로 발전하기도 하며, 오랫동안 갑상선 기능 저하를 겪고 있는 노인들의 경우 심장 발작의 위험이 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 초기에 협심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피부와 모발이 거칠고 건조해지는 증상도 동반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피부가 희어지는 백피증이 나타나기도 하며 머리털이 건조해져 쉽게 부서지며 눈썹이 빠지기도 한다. 이비인후과적인 증상으로는 귀가 잘 안들리고 균형을 잡기 어렵다.
원인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 자체의 이상으로 인한 일차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뇌하수체라고 하는 기관 등의 이상으로 인한 이차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나눌 수 있다. 일차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의 적출 수술, 방사성 옥소의 투여,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 염증 등에 의해 갑상선 조직이 파괴되어 발생하며, 이차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하는 뇌하수체의 기능이 떨어진 경우에 발생한다. 이러한 갑상선 기능 저하는 흔한 질환의 하나로 남자보다 여자에서, 나이가 많을수록 많이 발생한다.
치료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을 통해 결핍된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해 주면 된다. 치료가 시작되면 보통 2~3주 내에 상태가 호전되기 시작해 몸무게가 줄고 눈의 부기도 점차 가라 앉는다. 약 3~6개월이면 피부와 모발이 완전히 회복되기도 하는데 원인을 완전히 없애기 전에는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갑상선 호르몬 검사를 시행해서 변화를 수시로 파악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