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외 비말도 똑같이 위험

봄날씨에 꽃이 만개하면서 나들이 인구가 늘고 있다. 지난 주말에는 시민들이 마스크를 쓴 채 근처의 꽃길이나 공원을 찾는 모습이 포착됐고, SNS에는 나들이 사진이 대거 올라왔다. 여의도 한강공원 매점은 마스크를 하지 않고 라면을 먹는 이들로 들어설 틈이 없을 정도였다. 꽃놀이를 나온 사람들은 ‘실내가 아니니 괜찮다’ ‘집에만 있으니 답답해서 나간다’고 항변한다.
답답해서 야외로? “꽃놀이 갔다 감염도”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야외로 나가는 시민이 많아지는 추세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야외는 기침을 해도 바이러스가 담긴 비말이 공중으로 날아가 희석되니 괜찮지만, 이는 개인 간 간격이2m 이상 떨어졌을 때나 괜찮다는 뜻”이라며 “꽃놀이 등으로 사람이 북적거리는 야외는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하다 보기 어려우며, 집회 등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최근 부산에서 나온 60대 코로나19 확진자 역시, 친구들과 전남 구례군 산수유 마을에 꽃놀이를 다녀온 뒤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야외에서도 밀접접촉이 가능한 환경이면 코로나19에 감염될 수 있다는 증거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받아,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지방자치단체들은 봄철 나들이객이 몰리는 일부 장소의 통제·폐쇄에 나선 상태다. 여의도 윤중로는 오는 1일부터 ‘벚꽃길 전면통제’가, 송파구 석촌호수는 28일부터 ‘임시 폐쇄’ 상태에 들어갔다. 경남 창원의 명물인 진해군항제는 취소됐다. 국내 뿐 아니라 외국도 코로나19를 대비해 ‘꽃놀이 자제령’을 내렸다. 일본의 경우, 벚꽃으로 유명한 도쿄 우에노 공원 산책로를 폐쇄하고 사람이 오지 못하게 막고 있다.
정부에서는 꽃놀이를 자제하라고 말하지만 주민·관광객의 방문 자체를 막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반발하는 일부 사람도 있어 대중의 인식 개선이 절실하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봄꽃 축제 자체가 사람이 모여있을 수 밖에 없어 방문을 자제하는 게 좋다”며 “주말에는 될 수 있으면 집에 머물러라”고 말했다.
답답하면 ‘드라이브 스루 꽃놀이’라도
집 안에만 있는 것도 건강에 좋지 않다. 정신적으로 힘들 정도라면, 잠깐 밖에 나가 산책하는 정도는 괜찮다. 단, 꽃놀이·축제·집회·공연처럼 많은 사람이 몰리는 행사나, 인파가 몰리는 유명 장소는 피해야 한다. ‘드라이브 스루 꽃놀이’도 추천한다. 이재갑 교수는 “차량을 이용해 드라이브하면서 봄 경치를 보거나, 사람이 거의 없는 산책 장소라면 코로나19 위험이 적다”며 “그래도 외출 전후에는 반드시 30초 이상 비누를 이용해 손을 씻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실내에서 유리창을 열고 환기하며 햇빛을 쬐도 비타민D합성·기분전환에 도움을 줘 건강에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