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에서 호르몬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한 병원 의사가 데이트 앱 사용이 도파민 중독을 유발해 사용자가 스트레스나 우울감을 느낄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 9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더 미러에 따르면 영국 의료서비스위원회에 등록된 병원 ‘밸런스 마이 호르몬스’ 소속 의사 마이크 코치스는 “‘데이트 앱 효과’라는 단어가 있다”며 “이는 데이트 앱 사용자들이 ‘만성 스트레스 장애나 중독 현상을 겪는 사람들과 유사할 정도로 호르몬 조절 장애를 경험하는 현상’이다”고 말했다. 이어 “즉 데이트 앱을 사용할수록 도파민에 중독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도파민 중독은 행복 호르몬인 도파민을 지나치게 갈구해 중독되는 것을 말한다.
코치스에 따르면 데이트 앱을 사용할 때 뇌에서 ‘기대-인식-보상’이라는 세 가지 단계를 거친다. 먼저 사용자가 앱을 켜는 순간 ‘기대감’에 따라 도파민 분비가 시작된다. 이후 누군가에게 알림이 오는 것을 ‘인식’하면 한 번 더 도파민 수치가 상승한다. 마지막으로 누군가와 매칭됐다는 ‘보상’이 전달되면 도파민 수치가 가장 높아진다. 데이트 앱 사용을 통해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뇌는 보상 시스템에 의존하게 되고, 실제로 약물 중독이나 도박과 유사한 신경 화학 반응을 일으킨다.
데이트 앱을 사용하면 성별 상관 없이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변화하는 현상을 겪으며 기분에 영향을 받는다. 코치스는 “매치가 잘되면 15~20분 안에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최대 20%까지 상승하지만, 거절당하거나 매치가 끊기면 10~25%까지 급감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상승과 하락은 기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테스토스테론이 급증하면 사용자는 사회적 지배력과 자신감을 느낄 수 있지만, 테스토스테론이 감소하면 ▲에너지 저하 ▲우울감 ▲성욕 감퇴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코치스에 따르면 데이트 앱 사용자 중 45%가 스트레스와 우울감 증가를 호소했으며 30%는 수면 패턴 변화와 불안감까지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일정 기간 앱을 사용하지 못하면 ‘금단 증상’처럼 짜증과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도 있다”며 “호르몬 균형을 위해선 데이트 앱 사용 시간을 제한하고 정기적인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데이트 앱 사용으로 인해 도파민 중독에 걸리면 쾌락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만 자주 사용해 쓰지 않는 뇌 부위가 점점 퇴화할 수 있다. 뇌가 끊임없이 자극받아 강박증, 우울증, 조현병 등의 정신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실제로 자극적인 콘텐츠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울증, 불안, ADHD 등 정신건강이 악화할 위험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이 불면증이나 만성피로로 이어져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중독을 해결하려면 도파민 과다 분비를 줄여야 한다. 코치스는 ‘디지털 디톡스’가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 디톡스는 도파민 분비를 자극하는 스마트폰, TV 등을 의도적으로 멀리하는 행위를 말한다. 디톡스와 함께 다른 활동에 집중해 보는 것도 좋다. 지인들과의 대화, 가벼운 산책 등이 뇌 건강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지난 9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더 미러에 따르면 영국 의료서비스위원회에 등록된 병원 ‘밸런스 마이 호르몬스’ 소속 의사 마이크 코치스는 “‘데이트 앱 효과’라는 단어가 있다”며 “이는 데이트 앱 사용자들이 ‘만성 스트레스 장애나 중독 현상을 겪는 사람들과 유사할 정도로 호르몬 조절 장애를 경험하는 현상’이다”고 말했다. 이어 “즉 데이트 앱을 사용할수록 도파민에 중독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도파민 중독은 행복 호르몬인 도파민을 지나치게 갈구해 중독되는 것을 말한다.
코치스에 따르면 데이트 앱을 사용할 때 뇌에서 ‘기대-인식-보상’이라는 세 가지 단계를 거친다. 먼저 사용자가 앱을 켜는 순간 ‘기대감’에 따라 도파민 분비가 시작된다. 이후 누군가에게 알림이 오는 것을 ‘인식’하면 한 번 더 도파민 수치가 상승한다. 마지막으로 누군가와 매칭됐다는 ‘보상’이 전달되면 도파민 수치가 가장 높아진다. 데이트 앱 사용을 통해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뇌는 보상 시스템에 의존하게 되고, 실제로 약물 중독이나 도박과 유사한 신경 화학 반응을 일으킨다.
데이트 앱을 사용하면 성별 상관 없이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변화하는 현상을 겪으며 기분에 영향을 받는다. 코치스는 “매치가 잘되면 15~20분 안에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최대 20%까지 상승하지만, 거절당하거나 매치가 끊기면 10~25%까지 급감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상승과 하락은 기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테스토스테론이 급증하면 사용자는 사회적 지배력과 자신감을 느낄 수 있지만, 테스토스테론이 감소하면 ▲에너지 저하 ▲우울감 ▲성욕 감퇴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코치스에 따르면 데이트 앱 사용자 중 45%가 스트레스와 우울감 증가를 호소했으며 30%는 수면 패턴 변화와 불안감까지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일정 기간 앱을 사용하지 못하면 ‘금단 증상’처럼 짜증과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도 있다”며 “호르몬 균형을 위해선 데이트 앱 사용 시간을 제한하고 정기적인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데이트 앱 사용으로 인해 도파민 중독에 걸리면 쾌락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만 자주 사용해 쓰지 않는 뇌 부위가 점점 퇴화할 수 있다. 뇌가 끊임없이 자극받아 강박증, 우울증, 조현병 등의 정신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실제로 자극적인 콘텐츠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울증, 불안, ADHD 등 정신건강이 악화할 위험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이 불면증이나 만성피로로 이어져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중독을 해결하려면 도파민 과다 분비를 줄여야 한다. 코치스는 ‘디지털 디톡스’가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 디톡스는 도파민 분비를 자극하는 스마트폰, TV 등을 의도적으로 멀리하는 행위를 말한다. 디톡스와 함께 다른 활동에 집중해 보는 것도 좋다. 지인들과의 대화, 가벼운 산책 등이 뇌 건강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