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 중 근육통·진한 색 소변 보이면 반드시 병원 찾아야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독감 관련 횡문근융해증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14일 “그동안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소아 B형 독감과 관련한 횡문근융해증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급격한 근육 손상으로 인해 근육이 괴사하면 근육 성분이 녹아 혈액으로 방출된다. 이로 인 근육 효소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는 질환이 횡문근융해증이다. 통상 극심한 신체활동을 한 뒤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소아에게선 독감 등 바이러스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최악의 경우 급성 신장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예방 및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협회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회원 병원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횡문근융해증으로 인한 근육통, 보행장애, 짙은 색의 소변 등 임상 증상 건수가 78건에 이르렀다”며 “대부분 5~12세 사이였고, 횡문근융해증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64%는 입원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다”고 했다.
최용재 협회 회장은 “B형 독감은 일반적으로 경증이지만 일부 아동에게는 바이러스성 횡문근융해증이라는 심각한 후유증이 나타나고 있다”며 “독감 후 회복 중인 아동에게서 갑작스러운 심한 근육통, 걷기 어려움, 진한 색의 소변이 나타날 경우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횡문근융해증은 조기에 발견하면 충분한 수액 치료와 전해질 조절만으로 회복할 수 있으므로 독감 회복기에 아이에게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검사를 받는 게 좋다”며 “소아는 본인의 증상을 명확히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호자들의 세심한 관찰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14주차(3월 30일∼4월 5일) 의원급 의료기관의 외래 환자 1000명당 독감 의심환자 수는 16.9명으로 4주 연속 증가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13~18세(56.1명)와 7~12세(53.8명)가 가장 많았다.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14일 “그동안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소아 B형 독감과 관련한 횡문근융해증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급격한 근육 손상으로 인해 근육이 괴사하면 근육 성분이 녹아 혈액으로 방출된다. 이로 인 근육 효소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는 질환이 횡문근융해증이다. 통상 극심한 신체활동을 한 뒤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소아에게선 독감 등 바이러스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최악의 경우 급성 신장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예방 및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협회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회원 병원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횡문근융해증으로 인한 근육통, 보행장애, 짙은 색의 소변 등 임상 증상 건수가 78건에 이르렀다”며 “대부분 5~12세 사이였고, 횡문근융해증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64%는 입원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다”고 했다.
최용재 협회 회장은 “B형 독감은 일반적으로 경증이지만 일부 아동에게는 바이러스성 횡문근융해증이라는 심각한 후유증이 나타나고 있다”며 “독감 후 회복 중인 아동에게서 갑작스러운 심한 근육통, 걷기 어려움, 진한 색의 소변이 나타날 경우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횡문근융해증은 조기에 발견하면 충분한 수액 치료와 전해질 조절만으로 회복할 수 있으므로 독감 회복기에 아이에게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검사를 받는 게 좋다”며 “소아는 본인의 증상을 명확히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호자들의 세심한 관찰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14주차(3월 30일∼4월 5일) 의원급 의료기관의 외래 환자 1000명당 독감 의심환자 수는 16.9명으로 4주 연속 증가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13~18세(56.1명)와 7~12세(53.8명)가 가장 많았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