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 켜도 춥다… 이불에 핫팩 넣고 자면 ‘이런 문제’

입력 2023.12.22 23:00
손에 핫팩을 쥔 모습
사진= 연합뉴스DB
강추위가 지속되면서 핫팩을 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밖에서는 물론, 집 안에서도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핫팻을 사용하곤 한다. 간혹 이불 안에 핫팩을 넣고 자는 이들도 있는데, 이 같은 행동은 ‘저온화상’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화상은 비교적 낮은 40~45도 열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 정도 열에 직접적으로 오래 노출되면 피부가 서서히 손상될 수 있다. 특히 저온화상은 증상이 조금씩 천천히 나타나다보니 뒤늦게 인지하는 경우가 많아 더욱 문제가 된다.

저온화상을 입으면 피부 색소가 침착되고 붉은 반점, 가려움, 물집 등이 생긴다. 온열제품을 쓰다가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치료가 늦을 경우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흉터가 남을 수 있다.

화상을 입었을 때는 최대한 빨리 응급처치를 실시해야 한다. 우선 미지근한 생리식염수로 화상 부위를 식힌 후, 화상 흉터연고를 도포하고 거즈로 감아준다. 생리식염수가 없다면 물수건이나 천으로 감싸 찜질하도록 한다. 차가운 물, 얼음, 수압이 강한 물줄기 등으로 상처를 식히는 행위는 위험하다. 잘못하면 화상 부위에 추가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응급처치가 끝난 후에는 가까운 병원을 찾아 치료 받아야 한다.

저온화상을 입지 않으려면 핫팩을 피부와 직접 닿지 않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 부위에만 핫팩을 계속 쓰는 것 또한 삼가도록 한다. 전기장판, 온수 매트 등도 마찬가지다. 장판·매트 위에 누울 때는 이불이나 요를 깔고 사용해야 한다. 온도는 체온과 비슷한 정도로 맞추며, 시간이 지나면 작동하지 않도록 예약시간을 설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술을 마셨을 때는 피부 감각이 떨어진 상태일 수 있으므로 가급적 온열기구를 쓰지 않는 게 좋다.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