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이동욱 교수 연구

출퇴근 시간이 길수록 우울증 유발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이동욱 교수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교통과 건강’에 ‘통근시간과 우울증상 사이 연관성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는 20~59세 근로자 2만 3415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제5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했으며,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결혼상태, 자녀 유무, 직업, 주당 근무 시간, 교대 근무 여부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 우울증과 통근시간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하루에 출퇴근 시간이 60분 이상 소요되는 사람은 30분 미만인 사람보다 우울증 증상을 보일 위험이 1.16배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출퇴근이라는 행위가 그 자체로 심리적·육체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 여유를 앗아감으로써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봤다. 시간적 여유가 줄면 수면, 취미 활동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피로에서 회복할 여유가 부족해진다. 또 운동과 같은 건강한 생활습관에 투자할 시간도 줄어든다.
우울증 증상 발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에 따라 달랐다. 남성은 ▲미혼인 경우 ▲자녀가 없는 경우 ▲장시간 근로를 하는 경우에 우울증 증상 발생 위험이 두드러지는 반면, 여성은 ▲다자녀(2명 이상)인 경우 ▲교대근무를 하는 경우에 증상이 더 잘 관찰됐다.
이동욱 교수는 “긴 출퇴근 시간이 오히려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하지만, 한국에선 출퇴근 시간이 길수록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이 갈 수 있다”며 “일과 가정이 균형 있게 양립하려면 출퇴근 시간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