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세포 생존의 필수 성분
호르몬·비타민D 합성에도 쓰여
80%는 간에서 생성… 20%는 섭취
사용량이 합성량에 못 미치면 문제
혈중 총콜레스테롤·LDL 수치는
고혈압 발생 위험과 비례해 높아져
축적·산화 막으려면 'HDL'이 해법

◇적정량 필수, 과도하면 독
콜레스테롤은 세포가 생존하는 데 필수적인 물질이다. 몸이 호르몬과 비타민D를 합성하는 데도 쓰인다. 우리 몸의 콜레스테롤 중 80%는 간에서 생성되고, 나머지 20%는 음식으로 섭취된다. 성장기 땐 합성량보다 사용량이 많지만, 중년에 접어들면 사용량이 합성량에 미치지 못해 잉여 콜레스테롤이 생긴다. 콜레스테롤이 몸에 해로워지는 것도 이때부터다. 남은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벽에 쌓이면 혈관이 좁아지고 혈액의 흐름이 방해받게 된다. 혈압이 높아지는 것이다.
◇저밀도지단백 많으면 콜레스테롤 쌓여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쌓이는 건 콜레스테롤 운반체인 '저밀도지단백(LDL)'이 산화된 탓이다. 콜레스테롤은 물에 녹지 않는다. 혈액 속을 이동하려면 운반체 역할을 할 '지단백질'이 필요하다. 지단백질은 기능에 따라 '고밀도지단백(HDL)'과 '저밀도지단백(LDL)'으로 나뉜다. LDL은 간에서 합성한 콜레스테롤을 체내 조직으로, HDL은 조직에서 사용하고 남은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보낸다. 혈액 속 콜레스테롤 중 약 70%가 LDL 콜레스테롤에 결합한 'LDL 콜레스테롤', 약 25%가 HDL 콜레스테롤에 결합한 'HDL 콜레스테롤'이다.
LDL이 산화되면 결합해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에 축적될 수 있다. 산화된 LDL은 혈관 내막으로 침투해, 백혈구의 일종인 '단핵구'가 혈관으로 들어오도록 유도한다. 단핵구는 혈관 내에서 대식세포로 분화해, 산화된 LDL을 잡아먹은 후 괴사한다. 산화 LDL이 사라진 자리엔 콜레스테롤이 남는다. 이 과정이 반복되다 보면 혈관 내막에 콜레스테롤이 무더기로 쌓여 혈관이 좁아진다. 고혈압과 심뇌혈관질환이 생기는 단초다.
◇LDL 콜레스테롤의 위험성
일본의과대학 연구팀이 밝혀낸 바로,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수치는 고혈압 발생 위험과 비례한다. 연구팀은 정상 혈압의 중년 남성 1만4215명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사하고, 이후 4년간 누구에게 고혈압이 생기는지 추적했다. 그 결과 총콜레스테롤이 222㎎/㎗ 이상, LDL 콜레스테롤이 140㎎/㎗ 이상인 사람들은 고혈압 발생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기준으로 총콜레스테롤은 200㎎/㎗ 미만, LDL 콜레스테롤은 100㎎/㎗ 미만일 때 정상이다.
혈관 속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는 걸 막으려면 우선 LDL이 산화되지 않게 해야 한다. 혈관 내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다시 혈관 밖으로 내보낼 필요도 있다. 둘 다 HDL 콜레스테롤이 해법이다. HDL은 조직에 있는 잉여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옮겨, 혈관 내에 쌓인 콜레스테롤양을 줄여줄 수 있다. 항산화 효과가 있어 LDL이 산화되는 것도 막아준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