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기분부전장애 dysthymic disorder

정의
기분부전 장애에서 우울 증상은 유년기나 청소년기에 서서히 발생을 하며, 몇 년 이상 때로는 몇 십년을 통해 중간이나 낮은 단계의 경과를 보인다. 주요 우울 삽화가 기분부전 장애에 합병이 되는 경우가 있다. 순수한 기분부전 장애의 경우 우울 증상은 역치 이하의 수준에서 일어나며, 종종 우울 기질을 가진 사람과 증상이 비슷하기도 하다.

증상
우울증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습관적인 우울감, 염세주의, 유머 없음, 즐거움, 능력의 부재, 수동적이고 힘이 없음, 내향적인 성격, 회의적이고 비판적이며 불평스럽고, 자기 비관적, 자책적이며 자기 경멸적이고, 실패, 부정적인 시간에 대한 부적절한 집착을 보인다.

원인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원인은 없다. 하지만 증상이 우울증과 비슷하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기분부전장애 원인 또한 우울증과 비슷할 것이라 주장한다. 생물학적으로 체내 부신호르몬, 갑상선호르몬 등에 이상이 생기거나 우울감을 주는 심리사회적 요인이 원인일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치료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는 최선의 치료이다. 이가 아민 삼환계 항우울제 특히, desiparamine은 효과적이긴 하지만 약물의 용량이 높이며, 이로 인한 부작용으로 인해 약물의 순응도가 떨어지게 된다. 환자들이 만약 양극성 장애의 가족력이 있으면 리튬 단독이나 아니면 bupropion 또는 desipramine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ranylcypromine이 시도되기도 한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가역적인 MAOI가 음식이나 고전적인 MAOI와의 상관 관계가 거의 없으며, 이 장애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 항정신병 약물의 경우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낮은 용량에서 효과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항정신병 약물인 trifluoperazine 1mg/day는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지연성 운동 장애의 위험이 있기는 하지만 난치성인 경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업 상담이 기분부전 장애 환자들에게 중요한데, 그 이유는 많은 기분부전 장애 환자의 경우에 있어서 세밀한 주의가 요하는 직업에 잘 적응을 하기 때문이다. 대인 관계 정신 치료와 인지 행동 정신 치료는 패배감이나 게으른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런 정신 치료는 약물 치료과 잘 병합될 수 있다.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