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분만 3기 중이나 후에 발생하는 500mL 이상의 출혈.
산후 출혈은 감염 다음으로 산모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다.
증상
산모들은 출산 후 자연스런 출혈을 겪게된다. 평소 생리 때보다 많은 양의 피가 나오다가 점점 색깔이 옅어진다. 붉은색, 선홍색, 갈색, 노란색, 흰색 순이다. 그러다 멈추는 것이 정상이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산후 출혈은 지나치게 많은 양의 선홍색 피가 나오는 것이다. 태반 부착 부위의 퇴축 부전에 의한 산후 출혈은 대개 초기에 생기지만 분만 후 1개월 뒤에 생길 수도 있다.
원인
원인은 다양하며 피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태반 부착 부위에서 발생하는 출혈은 과다 팽창된 자궁, 지연 진통, 난산, 다산부 또는 마취에 의한 이완성 자궁출혈과 연관이 있다. 또한 열상, 수태물의 잔류, 저브리노겐 혈증 등이 출혈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치료
감염과 마찬가지로 치료는 예방에서부터 시작한다. 분만 전 빈혈 교정, 자궁근종, 양수 과다증, 다태임신 등의 확인, 그리고 드무 혈액형인지 또는 산후 출혈의 과거력이 있는지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조심스럽고 서둘지 않으면서 조작을 최소화하는 분만이 현명한 방법이다. 태반이 분리된 다음 옥시토신 10 unit를 근육내 주사하거나 희석한 옥시토신을 정맥내 점적하는 것이 자궁수축을 촉진시키며 불가피한 출혈을 줄일 수 있다. 태반은 완전히 나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만약 불완전하다면 자궁을 손으로 직접 검사하여 남겨진 태반 조직을 찾아야 한다. 만약 태반이 분만 후 45-60분 이내에 자연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면 용수제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드물게는 감염된 태반과 탈락막을 제거하여 위하여 소파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분만 3기가 완료된 후 1시간 동안은 자궁수축과 질 출혈량을 관찰해야 한다. 출혈이 있게 되면 쌍수 자궁 맛사지가 옥시토신을 정맥주사해야 한다. 만약 출혈이 계속되면 혈액을 공급하고, 열상이나 후산 태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자궁경부와 질도 확인해야 한다. 만약 옥시토신을 투여하는 동안에도 심한 출혈이 지속된다면 carboprost tromethamine 250mg을 자궁 근층에 직접 주입해야 한다. 만일 불응성 이완 자궁에서 자궁수축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하복동맥을 결찰하거나 작우절제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