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부정맥 arrhythmia

정의
휴식 시의 성인의 정상 심박수는 분당 60-80회인데, 이 범위를 벗어난 비정상적인 심박수나 율동의 이상을 의미한다. 종류 부정맥은 심박동수가 너무 빠른 빈맥과 너무 느린 서맥, 두 가지가 있다. 빈맥은 심방 혹은 심실에서 기원하며, 규칙적인 빈맥과 불규칙적인 빈맥으로 나뉜다. 빈맥이 심실에서 기원할 경우 심실 세동으로 빠질 수도 있으며, 심실 세동은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이다. 서맥에는 동기능부전 증후군과 완전 방실전도차단이 있다. 대부분의 부정맥은 심장과 혈관계의 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운동이나 임신 시에는 심박동이 빨라지며, 매우 건장한 사람의 경우 정상 심장 박동수보다 느리므로 정상 심박수가 아니라고 해서 반드시 병이 있는 것은 아니다. 부정맥은 그 유형에 따라 심각성이 다르다.

증상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일단 증상이 있는 경우 급격하게 나타난다. -심계항진 -현기증, 때로는 의식 소실 -숨이 참 -가슴이나 목 부위의 통증 -뇌졸중, 급성 심부전, 만성 심부전 등이 생길 수 있다.

원인
부정맥의 가장 흔한 원인은 관상동맥질환이며,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해 심장의 율동을 조절하는 전기 체계에 혈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심장 판막 질환과 심장 근육의 염증이 있다. 선천성 부정맥 가운데는 심방과 심실을 잇는 전기 경로의 기형으로 인한 것이 있으며, 이 경우라도 어느 정도 성장한 뒤에 증상이 나타난다. 어떤 부정맥은 심장 이외의 문제로 나타나는데, 이 같은 부정맥으로는 갑상선 호르몬의 장애나 고칼륨혈증 등이 있다. 기관지 확장제나 디지탈리스 제제, 카페인, 담배 등도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
심장의 전기적 율동을 검사하기 위해 심전도를 실시하며, 어떤 부정맥은 아주 가끔씩 나타나기도 하므로 24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심전도가 필요할 때도 있다. 때로는 심장 내의 전기 회로 이상을 찾아 내기 위해 심장 전기생리 검사를 시행할 수 도 있다. 부정맥을 조절하기 위해 항부정맥제를 사용하거나 심장 율동을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해 전기충격치료를 할 수도 있다. 원인이 되는 비정상 전기 경로를 심장 전기생리 검사 도중 고주파 절단법으로 제거하기도 한다. 심박동수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인공 심박동기를 삽입하여 심장을 자극하기도 한다.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