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림프종은 면역 세포들이 종양화되어 조절을 받지 않고 증식하는 여러 종류의 림프계 암을 통칭하는 말이다.
림프종은 두 가지의 주요한 범주, 즉 호지킨 림프종과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나눌 수 있다. 호지킨 림프종에서는 특정한 유형의 암세포가 존재한다. 기타 다른 모든 유형의 림프종들은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분류된다. 호지킨 림프종은 15-30세 사이와 55-70세 사이에 가장 흔하고, 비호지킨 림프종은 일반적으로 50세를 넘은 사람들에게 나타난다. 비호지킨 림프종은 호지킨 림프종보다 3배 정도 발생 빈도가 높다.
증상
모든 유형에서 흔한 증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목,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에 지속적이고 통증이 없는 종창
발열과 야간 발한
체중 감소
림프절과 비장 비대로 복부 팽만과 불쾌감
이외에도 림프종 환자들 중 일부는 빈혈이 생겨 피로하고 창백해지며, 경미한 활동에도 숨이 찬다.
원인
림프종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 요인이 일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림프종은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환자들이나 면역 억제제 치료를 받는 환자들처럼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서 빈발한다. 어떤 림프종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된다.
치료
증상과 진찰을 통해서 림프종이 의심되면, 빈혈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를 하며, 암세포를 발견하기 위해 림프절에서 조직검사를 한다. 이후 림프종으로 진단되면, 진행 정도와 림프절의 크기를 평가하기 위해 CT스캔 같은 방사선 검사와 골수 흡인과 생검 검사 등의 추가 검사를 시행한다.
치료는 림프종의 유형과 진행 정도에 따라 다르다. 하나의 림프절이나 한 그룹의 림프절만이 이환 되었다면 국소적인 방사선 치료만으로 치료할 수 있다. 두 군 이상의 림프절들이 이환 된 경우는 보통 항암 화학요법으로 치료하고, 때로는 항암제 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