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폐를 가장 자주 침범하지만 신체의 다른 장기들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세균 감염. 결핵은 서서히 발생하는 세균 감염으로 주로 폐를 침범하지만 신체의 다른 곳으로 퍼질 수 있다. 항결핵제로 치료가 되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건강이 악화되고 생명을 위협할 수 도 있다. 세계적으로 성인에서는 결핵이 다른 어떤 세균보다 많은 사망의 원인이며 개발도상국에서는 아직도 흔한 질병이다. 선진국에서는 20세기 들어 발생률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었으나 1985년부터 세계적으로 결핵 환자가 늘어나기 시작하고 있다. 결핵 증가는 여행의 증가와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결핵균이 퍼지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면역력을 떨어뜨려 감염에 취약하게 하는 인간 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과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의 증가도 한가지 요인이 될 것이다.
증상
감염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환자들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기침, 마른 기침인 경우가 많음
-전반적으로 건강상태가 좋지 않음
병이 진행되면 2-6주 후에 다른 증상이 나타나는데 진행이 더 빨라질 수 있다. 진행된 후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지속적인 기침과 함께 녹색 또는 황색 가래가 나오고 때로는 피가 묻어 나오는 경우도 있음
-깊게 숨을 들이마실 때 흉통이 있음
-가쁜 숨
-열
-식욕 감퇴와 체중 감소
-밤에 땀을 많이 흘림
-피로감
결핵을 치료하지 않으면 폐에서 시작해 심장을 감싸고 있는 조직으로까지 퍼진다. 감염이 혈액을 따라 뇌, 뼈, 임파선과 같이 몸의 다른 부위로까지 퍼질 수 있다. 감염이 혈액을 따라 뇌, 뼈, 임파선과 같이 몸의 다른 부위로까지 퍼질 수 있다. 폐 외에 다른 신체 부위에서 시작하는 결핵은 매우 느리고 특징적인 증상이 없어 진단하기 어렵다.
원인
대부분의 결핵은 결핵균이 원인이며, 감염된 사람이 기침할 때 나오는 분비물을 매개로 공기를 통해 전염된다, 결핵균에 감염이 되는 사람들은 만났지만 그 중 일부만이 결핵을 앓게 된다. 세균이 흡입되면 초기에는 폐에 극히 가벼운 감염이 발생한다. 이 초기 폐 감염의 결과는 환자의 면역에 따라 달라진다. 많은 건강한 사람들은 감염이 더 이상 퍼지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결핵균이 폐 속에 잠복하고 있다가 수 년이 지나서 환자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재 활성화된다.
치료
결핵 환자들은 심각한 상태가 아니면 집에서 치료를 받으면 된다, 항결핵약제들을 조합으로 처방 받는데 최소한 6개월간 복용 해야 한다. 약제들을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세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약제들은 항생제 내성 검사 결과와 감염이 신체의 다른 부위로 퍼졌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뼈와 같이 약제들이 쉽게 들어갈 수 없는 부위에 감염이 있다면 더 오랜 기간 동안 치료가 필요하다. 정해진 치료 기간 동안 항결핵약제를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을 복용하는 것을 잊어버리기 쉽기 때문에 일부 환자들은 정기적으로 병원에 나와 의료진 감독 하에 약을 복용하는 관찰 치료가 필요하다, 결핵약을 복용하는 동안 치료 경화와 약물의 부작용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흉부X선 검사과 혈액 검사를 받아야 한다, 국내에서는 출생 후 4주 이내에 비씨지(BCG)를 맞도록 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