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위치와 운동에 대한 이상감각으로 구토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음.
증상
어지러움이 있는 환자는 정지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나 주변 환경이 움직이고 있다고 느끼게 된다. 이러한 이상 감각은 흔히 빙빙 도는 느낌으로 나타나며 메스꺼움이나 심하면 구토를 동반한다. 현훈은 내이의 평형 기관인 전정기관의 장애, 뇌로 연결된 신경의 이상, 평형을 담당하는 대뇌 영역의 이상에서 생길 수 있다. 드물게는 심각한 원인 질환의 한 징후로 나타나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현훈은 갑자기 발생하며, 수 분에서 몇 일 동안 지속될 수 있고 증상은 간헐적으로 나타나거나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저절로 회복되거나 원인 질환이 교정되면 사라진다.
원인
현훈은 간혹 목 부위의 관절염일 동반되는 데 고개를 돌리거나 기울일 때 평형을 담당하는 뇌 영역에 피를 공급하는 혈관이 눌리면서 증상이 유발된다.
또한 전정 기관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흔히 감기나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성 상기도염으로 시작되거나, 중이의 세균 감염으로 시작된다, 이 경우 갑자기 현훈이 시작되어 1-2주간 지속된다,
이명과 난청이 동반되며 반복적으로 현훈이 생기는 경우 메니에르 병과 같은 내이 질환이 원인이 된다.
현훈은 항생제 부작용 과도한 음주, 식중독, 열사병의 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머리가 움직일 때 나타나는 발작성 현훈은 내이 안에 석회화된 덩어리가 있는 경우 생기며 보통 수주에서 수개월에 걸쳐 저절로 회복된다. 드물게는 청신경종, 뇌졸중, 두부손상, 다방성 경화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때는 언어장애, 시작 이상, 사지 무력증 등의 다른 증상들을 동반한다. 위의 증상이 동반될 경우,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치료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귀, 안구 운동, 신경계 검사를 한다. 칼로리 검사는 온수와 냉수를 번갈아 가며 귀속으로 주입해 가며 전정 기능의 이상을 확인한다. 경부 방사선 검사는 경부 척추 분리증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된다. 이명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청신경 종양을 의심하여 CT 스캔 또는 MRI스캔을 시행한다.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 치료를 시행하며 항생제 부작용으로 현훈이 생긴 경우에는 다른 약물로 대체한다. 그 외의 치료는 원인에 대한 치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