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경구 피임약 oral contraceptives

정의
경구 피임약은 뇌의 시상하부에 작용해 성선자극 호르몬을 억제하고, 뇌하수체가 배란기 때 성선 호르몬을 분비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자궁내막을 위축시키고 경관 점액을 탁하게 만들어 정자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종류 경구피임약은 합성 에스트로젠과 합성 프로게스틴의 혼합물인 복합 제제와 프로게스틴 단독 사용 제제로 나뉜다. 프로게스틴 단독제제는 불규칙적인 질출혈이 있을 수 있고, 임신율이 2-8%까지 나타나기 때문에 에스트로젠이 금기가 되는 경우에 한해서만 사용하도록 한다.

증상
금기사항 흡연을 하지 않는 건강한 여성은 폐경이 될 때까지 저용량의 경구 피임약을 사용해도 괜찮다. 하지만 흡연을 하는 35세 이상의 여성 혹은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등의 다른 심혈관계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여성 그리고 50㎍이상의 에스트로젠을 사용하던 여성에서는 뇌경색과 심근경색을 포함한 순환계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높아진다. 이외에 다른 금기증은 다음과 같다. <절대적 요인 > 35세 이후의 흡연 임신 급성 간 질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혈관 변화를 동반한 당뇨 하지의 장기간 고정 혈전증, 혈전염, 관상동맥 질환, 종양, 간 종양, 임신성 황달 등의 경력 <상대적 요인> 우울증 편두통 원인불명의 무월경 35세 이전의 다량의 흡연

원인
경구피임약의 부작용 경구피임약의 주된 부작용은 오심, 유방통, 체액 저류, 혈압 상승 등이 있는데, 이는 에스트로젠의 용량과 연관이 있다. 프로게스틴은 체중증가, 여드름, 불안감과 같은 기분변화 등을 가져오는 부작용이 있다.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