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한쪽편 얼굴에 마비가 와서 입이 비뚤어지고 눈이 감기지 않는 것을 말하며, 구안와사,와사풍,안면마비라고도 불리며 대부분의 경우 특발성 바이러스감염으로 나타나 벨마비(Bell's palsy)라고도 불린다.
안면마비는 중추성마비(중풍,뇌졸중)와 말초성마비(안면신경마비 혹은 제 7차 뇌신경마비)로 크게 나뉘나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말초성 마비를 주로 말한다.
증상
"이-"라고 발음을 할 때 : 마비측의 코방울이 쳐지고 콧구멍이 더 작다. 입주위의 주름인 법령선이 잘 생기지 않고 입꼬리가 쳐지며 반대측으로 입이 돌아간다. 치아를 문치(앞이빨)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마비측의 치아가 보이지 않는다.
눈을 위로 치켜뜨면 : 마비측의 이마에 주름이 잡히지 않고 눈섭이 아래로 쳐지며 윗쪽 눈꺼풀이 쳐져 쌍거풀이 풀리고 눈이 작아진다.
증상은 원인과 병소의 부위에 따라 결정된다. 병소의 반대쪽에 마비가 오는 경우에는 이마에 주름을 만들 수 있고 눈도 감을 수 있다.병소와 같은 쪽의 안면근에 마비가 오는 경우에는 이완형 마비가 오며 눈을 감을수 없고 이마에 주름도 만들 수 없다.또 같은 쪽 구각이 쳐지고, 여러 표정을 만들 수 없고, 침을 흘리며 구음장애가 심하다.
눈꺼풀 근육도 포함하여 얼굴 한쪽이 갑자기 마비됨 마비가 일어난 쪽 귀의 통증 마비된 쪽 얼굴이 평평하고 무표정하게 보임 웃거나 찌푸리면 얼굴이 찌그러짐 맛이 변하고, 침이나 눈물이 나오는 것에 이상이 생긴다.
원인
안면신경 마비는 어떠한 원인 없이 안면 표정근에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마비가 오는 것을 말하고, 유아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발생하지만, 주로 20~30세 사이에 호발하며 임산부에서도 간혹 나타난다.
남자와 여자의 차이는 별로 없으나 남자가 40세 정도에서 많이 나타나며 여자는 20세 정도에서 호발하며, 어린이에게는 10~13세 정도, 노인에게는 65세 정도에서 주로 발생된다.
갑작스럽게 나타나기도 하며 차가운 곳에 노출이나 정서적 충격, 감정적 불안, 특수한 해부학적 위치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나 주요인은 정신적 육체적 과로로 인하여 면역력이 약화되었을 때 주로 발생된다.
치료
1. 일반요법
안면신경마비의 치료목적은 일시적인 전도 장애로 부터 회복시키고, 변성변화를 방지하며, 재생을 촉진하는데 있다. 韓醫學的인 치료에는 針治療를 이용하여 안면의 마비부위 주위와 반대편 등에 刺針하여 氣를 소통시키고 마사지를 하거나 자외선 조사 등의 물리치료를 행한다.
통증이 있으면 하루에 두 번 정도 전기 찜질기나 수건을 이용해 15분 정도 열 찜질을 하고(찜질 중에는 눈을 감음), 눈을 잘 깜박일 수 없으면 보안용 안경을 이용해 눈에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눈이 마르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밤에는 눈을 감아 먼지가 들어가지 않게 하고 눈을 촉촉하게 하기 위해 눈에 패치를 붙이고, 근육 힘이 회복되면 하루에 15~20회 정도 안면 마사지와 안면 운동을 한다. (안면, 볼, 입술, 눈에 크림이나 오일을 사용해 마사지하고 거울 앞에서 눈을 깜빡이거나 웃어 본다)
입안을 깨끗이 하기 위해 가능한 한 이를 자주 닦아야 한다.
Bell's palsy는 일반적으로 spontaneous remission하는 일이 많으나 일반적인 치료로는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피하고 안면을 보온하며, 토 안에 대해서는 안대로 각막을 보호한다. 또 안면근을 스스로 움직이는 훈련도 중요하다. 갓 일어난 마비에는 stellate ganglion block이 유효하며, 진구성 마비에 대해서는 성형수술을 행한다.
2. 약물요법
전문인의 지시에 따라 한방약물과 보안용 점안제를 사용하며, 신경의 염증과 부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부신피질 호르몬제 사용한다. 스테로이드가 주류이며 그밖에 혈관확장제, 비타민제 등 사용한다.
[생활시 유의 사항]
안면 신경 마비는 정신적 육체적 과로로 인한 에는 휴식이 도움이 되므로 정상적으로 생활한다.
[식이요법]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전문인과 상담해야 할 경우]
안면신경마비 症狀이 있는 경우
치료 후에도 눈이 충혈 되거나 자극이 있을 경우
입 밖으로 침이 흐르는 것을 조절할 수 없을 경우
통증이 심해질 경우
38.3℃ 이상의 고열이 날 경우
3. 예방과 조리
1. 일반요법
안면신경마비의 치료목적은 일시적인 전도 장애로 부터 회복시키고, 변성변화를 방지하며, 재생을 촉진하는데 있다.
韓醫學的인 치료에는 針治療를 이용하여 안면의 마비부위 주위와 반대편 등에 刺針하여 氣를 소통시키고 마사지를 하거나 자외선 조사 등의 물리치료를 행한다.
통증이 있으면 하루에 두 번 정도 전기 찜질기나 수건을 이용해 15분 정도 열 찜질을 함.(찜질 중에는 눈을 감음)
눈을 잘 깜박일 수 없으면 보안용 안경을 이용해 눈에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눈이 마르는 것을 방지함.
밤에는 눈을 감아 먼지가 들어가지 않게 하고 눈을 촉촉하게 하기 위해 눈에 패치를 붙임.
근육 힘이 회복되면 하루에 15~20회 정도 안면 마사지와 안면 운동을 함 : 안면, 볼, 입술, 눈에 크림이나 오일을 사용해 마사지하고 거울 앞에서 눈을 깜빡이거나 웃어 봄.
입안을 깨끗이 하기 위해 가능한 한 이를 자주 닦음.
Bell's palsy는 일반적으로 spontaneous remission하는 일이 많으나 일반적인 치료로는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피하고 안면을 보온하며, 토 안에 대해서는 안대로 각막을 보호한다. 또 안면근을 스스로 움직이는 훈련도 중요하다.
갓 일어난 마비에는 stellate ganglion block이 유효하며, 진구성 마비에 대해서는 성형수술을 행한다.
2. 약물요법
전문인의 지시에 따라 한방약물과 보안용 점안제를 사용
신경의 염증과 부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부신피질 호르몬제 사용
steroid가 주류이며 그밖에 혈관확장제, 비타민제 등 사용
[생활시 유의 사항]
안면 신경 마비는 정신적 육체적 과로로 인한 에는 휴식이 도움이 되므로 정상적으로 생활함
[식이요법]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음식물을 섭취해야 함
[전문인과 상담해야 할 경우]
안면신경마비 症狀이 있는 경우
치료 후에도 눈이 충혈 되거나 자극이 있을 경우
입 밖으로 침이 흐르는 것을 조절할 수 없을 경우
통증이 심해질 경우
38.3℃ 이상의 고열이 날 경우
예방
예방과 조리
① 환자가 지나치게 불안해하거나 긴장할 필요가 없다.
대부분 예후는 좋으므로 지나친 정신적 긴장을 풀고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무리를 하지 않아야 한다.
② 어느 경우에도 음식주의에 유의하여야 한다.
과음, 과식과 자극성식품의 섭취는 병의 회복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③ 마비된 곳에 찬바람을 쏘이는 일은 좋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따뜻한 물찜질을 1일2-3회 하는 것도 좋다.
④ 거울을 보면서 여러 가지 표정을 지어 보고 안면근육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마사지를 하거나 하관·지창·협거·인중과 같은 경혈 부위를 뻐근할 정도로 지압을 가해주는 것이 크게 도움을 준다.
후유증
안면신경마비의 경우 그 후유증은 당해보지 않는 사람은 그 고통을 잘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어리거나 여성의 경우는 심각하다. 그러나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재활치료를 한다면 그 후유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마사지요법과 운동요법도 있으며 후유증의 증상에 따라 치료를 해야합니다. 먼저 근육의 활력을 보기 위해서 근전도 검사나 안면체열진단을 통해 취약해진 경락 경근 경혈자리와 근육을 찾아내어 강화시키는 프로그램을 짜서 치료하게 됩니다.
안면신경마비의 후유증은 주로 안면 마비가 한달~3달이내에 치료되지 않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아래는 흔히 나타나는 안면신경마비의 후유증을 나열하여 보았습니다.
▶ 안면신경마비의 후유증
① 환측안면의 경련감과 감각의 이상 - 특히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거나 피곤할때
② 환측안면의 근위축과 얼굴살의 빠짐 - 마비가되어 이완되었던 안면의 근육이 제대로 작용되지 않아 위축이되면서 당기는 느낌
③ 연합운동 - 안면근육이 같이 작용되는현상, 특히 음식을 씹을때 눈까지 감기는 현상과 눈을 감을때 입까지 실룩거리는 현상
④ 잘못된 시술로서의 치료흉터 - 발포요법이나 뜸요법 혹은 독풀의 접착법으로인한 영구적인 흉터
⑤ 안면의 비대칭 - 정상적인 눈보다 작아진 눈과 정상인 콧구멍보다 작아진 콧구멍
⑥ 안면 눈꺼풀의 처짐 - 상안검과 하안검의 근무력으로 나이가 들어가며 더욱 심해짐
⑦ 악어의 눈물 - 일상생활중 특히 음식을 먹을 때 눈물이 나오는 현상으로서 환측안면의 눈에서 코로 연결되어 있는 누관이 안면마비로 인하여 좁아져 발생한다.
⑧ 발음의 이상 - 구순부위의 근육의 기능저하로 나타난다.
⑨ 안면의 비대칭적인 이상한 주름 - 안면근의 경직 상태로서 입과 코사이의 주름이 깊어 지고 입 끝이 정상쪽 보다 더 말려 올라간다. 안면마비의 후유증으로서 생기거나 지속적인 안면경련에 의해서 생긴다.
⑩ 대인기피증 - 구안와사의 후유증으로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을 두려워하게 된다.
⑪ 안면연축 - 안구 주위 근육, 때로는 다른 안면근을 침범하여 수초에서 수분간의 수축운동을 일으킨다.
주로 한쪽에서만 일어나지만 양쪽에서 일어나는 경우도 간혹 있다. 갑작스럽게 발생하거나 특정한 안면운동에 이어서 일어나기도 한다. 불수의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흉내를 내거나 중지시킬 수 없다.
피로나 스트레스에 의해서 심해지며 주로 성인, 특히 여성에서 더 많다. 뇌혈관이 안면신경의 기시부를 자극하여 박동과 유사한 안면근의 수축을 일으켜서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안면마비의 후유증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⑫ 또다시 재발이나 하지 않을까하는 두려움 - 비교적 재발은 드문 질병이지만 면역력의 치료가 완벽히 되지 않는 경우 재발되기도 한다.
등등 이루헤아릴 수 없을 정도 입니다.
그러나 저의 많은 임상례를 보았을 때 안면신경마비의 후유증은 정확한 마비경근과 해당근육의 검진을 통해 지속적으로 그 상황에 맞게 치료를 하게 되면 상당부분의 후유증을 감소시킬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