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허리가 아픈 증세를 말한다.
증상
정형외과적 질환으로는 추간판탈출증, 변형성 척추증, 척추과민증이 많고, 때로는 척추 카리에스, 척추종양을 볼 수 있다.
내장신경의 반사통으로서 요통을 호소하는 내과적 질환에는 췌장 질환, 위·십이지장질환, 쓸개(담낭)질환, 당뇨병성 신경염으로 심한 요통을 호소할 때가 있다.
산부인과·비뇨기과적 질환으로는 자궁위치이상·월경·임신·골반염·자궁암·난소종양 외에 신장종양·요로결석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요통을 일괄하여 요통증이라고 한다. 이처럼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아픔의 정도와 증세도 다양하다.
원인
요추나 천추 등의 구조상이나 역학적 이상, 요부의 근육·근막·건, 신경의 장애(외과·정형외과적 원인)를 비롯하여 내장장기의 질환(내과적 원인)·골반장기의 질환(산부인과·비뇨기과적 원인) 등에 의하여 일어난다. 인간은 신체구조상 기립·보행·질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요부에 역학적인 약점이 생겨 장애가 일어나기 쉽다.
치료
치료방법은 크게 보존적인 요법과 수술적인 요법으로 구분한다.
보존적인 요법에는 급성기의 치료방법인 안정·찜질·주사 및 약물요법 등이 있으며, 만성기의 치료방법으로는 골반견인·온열요법·코르셋·운동요법 등이 있다.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극히 일부이나 보존적인 요법으로 치료가 어렵거나 신경탈락 증세가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척추 외과수술을 실시해야 한다. 특히, 수술요법은 효과가 좋기 때문에 의사의 권고가 있을 때에는 수술을 받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