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얼굴·목·머리·가슴 부위의 피부가 갑자기 붉게 변하며 전신의 불쾌한 열감과 발한이 동반되는 상태를 말한다.
증상
안면홍조는 피로감·신경과민·불안·신경질·우울증 및 기억력 상실 등을 동반할 수 있다. 폐경기 초기에는 안면홍조의 뚜렷한 증세 없이 수면을 방해하기도 한다. 대부분 이 증세는 1∼3분 이내로 지속되고, 그 빈도는 평균 하루에 5∼10회 일어나며, 많게는 30회까지 나타나기도 한다. 폐경 여성의 70% 정도에서 안면홍조가 나타나고, 이 중 70% 정도는 그 증세가 2년 이상, 25% 정도는 5년 동안, 5% 정도는 영구적으로 지속된다.
원인
주로 폐경이 되면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수치가 떨어지면서 나타난다.
치료
약물요법과 비약물요법으로 나눌 수 있다.
약물요법으로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요법이 가장 효과가 있다.
비약물요법은 다음과 같다.
① 주위의 온도조절:주위온도를 낮추는 것이 좋다.
② 생활양식의 전환:안면홍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음식물과 카페인의 섭취를 줄이고, 콩·두부 같은 여성호르몬의 역할을 하는 음식을 섭취하며, 가벼운 운동을 한다. 금주·금연을 하고, 의복은 시원하고 느슨하게 입고, 스트레스 상황을 피하며, 수분섭취를 많이 한다.
③ 행동치료:분당 6∼8회의 느린 심호흡으로 안면홍조를 40% 정도 저하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④ 비타민 E:하루 400∼800IU를 섭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