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부고환염 epididymitis

정의
고환의 후측방에 위치한 초생달 형태의 말랑말랑한 조직(부고환)에 염증이 생긴 것. 부고환의 염증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급성 부고환염은 심한 통증과 부종으로 걸음을 걸 수 없을 만큼 고통스럽고 경우에 따라선 고열을 동반하고 심하면 고름집이 생겨 수술로 고름을 제거해 주어야 할 때도 있습니다.

증상
갑작스러운 음낭의 심한 통증이 하복부 및 측복부까지 통증이 파급된다. 부고환은 크기가 불과 수시간 내에 커지게 되어 보행하기조차 힘들며 전신에 오한을 동반한 고열이 나게된다. 종종 요도 분비물이 보이기도 하고 간혹 방광염이나 전립선염의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음낭은 붉어지고, 건조해지면서 탄력이 감소하고 얇아지고, 열이 난다. 혈액 검사를 해보면 백혈구가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요 검사 상에는 농뇨(고름이 섞인 소변) 및 세균뇨를 보이며 요배양 검사 상 양성소견을 보인다. 부고환염을 앓게 되면 흉터조직이 부고환의 미세한 관을 막아 폐쇄성 무정자증이 되기도 ?h다. 대개 만성 부고환염은 음낭에서 약간 딱딱한 멍울이 만져진다.

원인
부고환의 염증은 외상이나 요도로부터 거슬러 올라오는 무균뇨에 의해 발생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에 클라미디아, 임균 등의 감염에 의한 성교 전파성 요도염이나 대장균, 녹농균 등에 의한 요로 감염 및 전립선염 등이 파급되어 일어난다. 최근에는 35세 이하에서 발생하는 부고환염 중 많은 예가 클라미디아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세균이 부고환에 이르는 경로는 요도나 전립선에 있는 병원균이 요 중에 포함되어 배출될 때의 압력에 의해 사정관, 정관을 거쳐 부고환에 도달하기도 하고, 때로는 정관 주위의 림프관을 따라 부고환에 도달하기도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추정된다. 소아에서 부고환염이 자주 재발하는 경우에는 선천성 기형을 의심할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결핵균에 의한 급성 혹은 만성 부고환염을 항상 염두에 두고 폐결핵, 요로 결핵의 여부를 자세히 확인해야 한다. 또한 심한 운동이나 성적 흥분이 기존의 요도염 및 전립선염을 부고환염으로 발전시키고, 요도 내 기계조작, 전립선 절제술 등도 부고환염을 초래할 수 있다. 만성 형태는 급성 부고환염의 후유증이나 결핵균과 같은 특이한 세균에 의해 생길 수 있다.

치료
급성기의 3-4일 간은 절대 안정을 요하고, 음낭을 받쳐 주어 당기는 듯한 아픔을 경감시키며, 원인균에 대한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합니다. 만약 급성기에 고열이 있으면 환부에 냉찜질을 시행하며, 열이 없으면 온찜질을 시행하여 염증 과정을 진정시켜 줍니다.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급성 부고환염은 서서히 치료되는데, 보통 약 2주가 지나면 증세가 소실되고 약 1개월 후에 부고환은 정상으로 회복됩니다.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