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사춘기의 시작을 알리는 일련의 성적증후들이 정상적인 시기보다 빨리 출현하는 것을 성조숙증이라고 한다. 여아의 경우 8세 이전에 가슴이 발달하거나, 남아의 경우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면서 음모가 발달하면 성조숙증을 의심해 보아야한다. 성조숙증은 여아가 남아에 비해 5배 정도 많이 나타난다.
증상
성조숙증이 발생하면 대개 그 당시에는 아이의 성장이 갑자기 증가되어 키가 큰다. 그러나 성호르몬은 뼈를 자라게 하여 성장을 촉진시키지만 최종적으로는 성장판의 조기 패쇄를 가져와 최종 성인키는 정상적인 사춘기를 가진아이보다 오히려 작을 수 있다. 또한 남들보다 신체가 빨리 발달하는 것 때문에 부끄러움을 많이 타거나 수영장에서 옷을 잘 벗으려고 하지 않는 등의 정신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원인
대개 여아에서는 특발성, 즉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이 뇌의 시상하부라는 부위에서 사춘기를 유발시키는 성호르몬 방출호르몬의 분비가 증가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남아에서는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다른 질병 특히 뇌종양이 원인인 경우가 20% 정도를 차지하며 일부에서는 두부의 방사선 조사, 중추신경계의 선천성기형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이 축을 이루어 사춘기가 발달하는 것을 진성성조숙증(완전성조숙증)이라하고 이런 축과 상관없이 성호르몬이 과도하게 생성, 분비되어 성적증후들이 나타나는 것을 가성성조숙증(불완전성조숙증)이라고 한다. 가성성조숙증은 남성호르몬 또는 여성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여러 종양들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선천성 부신과형성증을 가진 환아에서도 질병의 특성상 성조숙증이 잘 발생하며, 이런 경우에는 간혹 여아에서 남성화가 남아에서 여성화가 일어날 수도 있다. 그 밖에 성호르몬이 함유된 약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하여서 발생할 수도 있다.
치료
원인에 따라 달라지는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특발성 성조숙증일 경우는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유도체를 사용하여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성호르몬의 분비억제를 유도하여 사춘기 증후를 감소시킨다. 가성성조숙증일 경우는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하거나, 종양을 제거함으로써 치료를 하고, 선천성 부신과형성증은 질병자체의 치료와 함께 성호르몬방출호르몬 유도체를 사용하여 사춘기의 빠른 진행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빠른 육체적 성장에 비해 정신발달이나 사회적 발달은 늦으므로 가족이나 환아를 대상으로 상담과 성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