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성대마비 vocal cord paralysis

정의
일정한 내인성 후두근육 신경분포가 결핍되어 한쪽 혹은 양쪽 성대가 움직이지 못하는 것으로, 성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고 문제가 생겨 성대 내의 위축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증상
마비된 성대의 위치와 일측 또는 양측 마비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러나 양측 정중위 마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발성시 성문폐쇄가 불완전하고 성대근육의 긴장도가 저하되어 발성시간이 짧아지고 고음발성이 어려워진다.

원인
뇌, 두개저부, 목, 폐, 가슴, 갑상선, 식도 부위의 질환이나 이들 부위의 수술의 후유증, 전이성 경부종양, 외상 및 대동맥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다발성 신경염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도 성대마비가 나타날 수 있다.

치료
가장 중요한 것은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대부분 보존적요법을 약 12개월 정도 시행한 후 증상의 개선이 없을 때 위축된 성대내에 실리콘이나 테플론을 주입하거나 갑상연골성형수술 및 피열연골의 내전술로 음성회복 및 성대 폐쇄를 도와 준다. 그러나 폐렴 등이 심한 경우에는 지방이나 젤폼 삽입술을 시행하여 성대 폐쇄를 도모한다. 양측성 마비처럼 호흡 곤란이 심하면 레이저를 이용한 성문개대술, 피열연골제거술 및 기관절개술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