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hyperpituitarism

정의
뇌하수체 전엽으로부터 신체 성장 호르몬이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어 일어나는 병으로 뇌하수체에 생긴 양성 종양이 원인이다. 주로 성장호르몬과 부신피질호르몬이 과잉 분비된다.

증상
일반적인 증상은 거인증, 말단비대증, 성기능 장애, 프로락틴 분비 선종 등이 있다. 성장호르몬이 과잉 분비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 거인증과 말단 비대증이 있는데 사춘기 이전에 발병하면 거인증으로 사춘기 이후에 나타나면 말단비대증으로 나타난다. 거인증은 뼈가 과도하게 자란 것으로 키가 240cm에서 270cm까지 자랄 수 있다. 말단비대증은 거인증과 달리 뼈끝이 융합된 후에 나타나는 것으로 키의 성장은 없으나 뼈의 말단부위와 연골조직이 성장한다. 코와 턱이 튀어나오고, 손은 두껍고 넓어지며, 종양이 뇌조직을 압박하여 두통, 시력상실, 복시, 무기력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그 밖에 뇌하수체 종양으로 성샘자극호르몬이 과잉 분비되면 어린이에게서 성조숙증이 나타나고, 유즙분비 호르몬 프로락틴이 과다 분비되면 젖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무월경, 불임증, 성욕감퇴 등의 증상을 보인다.

원인
대부분 뇌하수체 종양이 원인이다.

치료
종양을 절제하는 수술요법, 성장호르몬을 억제하는 약물요법, 방사선 치료요법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