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기면병 narcolepsy

정의
밤에 충분한 잠을 자고도 낮 시간에 이유없이 졸리고 갑작스런 무기력증이 생기며 본인도 모르게 짧은 시간 동안 잠에 빠지게 되는 병으로 주간의 졸리움, 탈력발작, 수면마비, 입면기 환각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신경학적 장애이다.

증상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순식간에 잠에 빠져드는 수면 발작과 몸의 기운이 빠져버리는 탄력발작을 들 수 있다. 수면 발작은 1~10분 정도 지속되며 대화 중이거나 식사 중에도 순간적인 잠에 빠져든다. 전형적으로 10-20분의 짧은 낮잠 후에 상쾌한 기분을 느끼고 일어나며, 2-3시간 후에 이러한 양상이 되풀이 된다. 피동적인 상태 즉 강의를 듣거나 승객으로 자동차를 타고 갈 때 심한 졸리움을 느끼고 주의집중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졸리움을 덜 느낄 수 있으나 되풀이 되면 결국 참을 수 없는 졸리움을 느끼게 된다. 탈력발작은 웃기거나 화를 내는 등 갑자기 무언가를 하려고 할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다리 근육의 힘이 빠지면 갑자기 주저 앉거나 쓰러지고 안면 근육의 힘이 빠지면 얼굴이 이상한 표정을 짓거나 입이 갑자기 벌어진다. 이 외에도 일부서는 수면마비와 입면기 환각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수면마비는 입면과 출면시 나타나는 증상으로 1~4분간 지속되는데 다른 사람이 깨우면 쉽게 소실된다. 그 밖에 기억상실을 동반하는 자동해동증, 주간의 시력장애, 악몽, 우울증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원인
기면증은 유전적인 경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계 가족은 일반인의 40배 가까운 유병율을 보이며 인간의 백혈구에서 보여지는 HLA-DR2가 100% 관련되어 있다. 수면박탈, 불규칙한 수면-각성 양상과 같은 수면 부담이 악화요인이며 두부외상, 탈수초화, 뇌종양으로 인한 시상하부의 기능부전이 드문 원인으로 보고된 바 있다.

치료
기면병은 치료하면 거의 정상생활을 할 수 있으나 방치면 종종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밤에 실시하는 수면다원검사와 낮에 시행하는 반복적 수면잠복기검사를 야간 및 주간에 연이어 하면 진단을 확실하게 내릴 수 있다. 잠이 쏟아지는 증사은 중추신경 각성제를 투여하고 몸의 힘이 갑자기 빠지는 탈력증상은 항우울제를 사용해서 예방할 수 있다. 그 밖에 탄수화물, 카페인, 초콜릿 등의 사용을 줄이도록 한다.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