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암으로 위를 잘라내는 위전절제술을 받고 미각에 이상이 생겼다면, 비타민B12가 부족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구가톨릭대의대 이비인후과학교실 연구팀은 미각 장애로 해당 대학 소속 후각미각클리닉을 찾은 환자 중 비타민B12가 부족한 환자 14명에게 미각 장애 정도를 설문 조사하고, 환자의 혀를 관찰했으며, 비타민B12 1000㎍을 투여했다. 연구대상자 14명 중 암으로 위전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10명으로 가장 많았고, 정신질환으로 영양실조인 환자와 위축성 위염 환자가 각각 2명이었다.
연구 결과, 비타민B12 투여 후, 환자의 미각 장애와 혀 불편감 증상이 나아졌다. 미각이 불편한 정도(숫자가 높을수록 불편함이 큼)가 비타민 투여 전 평균 3.2점에서 투여 후 1.5점으로 낮아졌다. 비타민B12 투여 후, 유두 없이 매끈하고 붉게 보이던 혀 표면도 점차 유두가 관찰됐다. 혀의 유두는 혀 표면 점막에 솟은 작은 돌기로 맛을 느끼는 미뢰와 연결돼 있어, 미각 기능과 관련 있다. 연구팀은 비타민B12는 몸속에서 합성이 안 돼 생선·육류 등을 섭취해 얻어야 하는데, 부피가 커서 특수한 과정을 거쳐 체내로 흡수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연구팀은 위전절제술을 받거나 위염을 앓는 등 위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비타민B12가 흡수될 수 있도록 돕는 내인성인자 분비가 줄고, 결국 비타민B12가 체내로 흡수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위전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비타민B12가 부족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과 예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고, 정기적인 투여를 받도록 안내되지만, 연구한 환자들은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며 “미각 장애 환자를 진료할 때는 위장 질환을 앓았는지 등의 병력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학술지 임상이비인후과에 최근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