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력 감퇴시키는 질병_수면무호흡·갑상선저하증 있어도 "깜빡"

입력 2011.08.24 09:11
자연적인 노화나 치매 외에 기억력 감퇴를 일으키는 질병도 적지 않다. 수면무호흡증이 대표적이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크리스틴 야페 교수팀이 치매가 없는 노년 여성 298명을 수면무호흡증 여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눠 2년간 조사한 결과, 수면무호흡증 그룹의 44.8%에서 2년 후 기억력 감퇴를 동반한 경도인지장애나 치매가 나타났다. 수면무호흡증이 없는 그룹은 31.1%였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수면무호흡 때문에 깊이 잠들지 못하고 자다가 뇌가 깨면 정보 정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체내 산소 농도가 떨어져 뇌세포가 손상돼 기억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

갑상선기능저하증도 기억력을 감퇴시킨다.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안철우 교수는 "갑상선기능저하증에 걸리면 신진대사가 더뎌져 집중력이 떨어지면서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잘 저장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를 받으면 기억력 감퇴도 해소된다.

고혈압·당뇨병이 있으면 뇌의 미세한 혈관이 좁아져 혈류가 감소하고, 노폐물이 쌓여 기억력을 포함한 뇌 기능이 떨어진다. 특히 당뇨병이 있으면 뇌의 포도당 공급이 제대로 안 돼 기억력이 떨어진다. 한양대병원 신경과 김희진 교수는 "꾸준한 운동과 올바른 식습관만 지켜도 이런 질병으로 인한 기억력 감퇴는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우울증 때문에 세로토닌 분비량이 줄면 뇌신경 사이의 물질 교환능력이 떨어져 기억력이 감퇴한다. 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의중 교수는 "노인에게 우울증이 생기면 기억력 감퇴가 젊은 우울증 환자보다 심하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