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미스코리아 출신이자 전 축구선수 아내 이혜원(45)이 김치 볶음을 즐겨 먹다가 살이 쪘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이혜원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이거 먹고 살찜”이라며 “제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 1위 김치 볶음”이라는 멘트와 함께 영상을 게재했다. 그가 공개한 영상에는 돼지고기와 함께 이혜원이 직접 김치 볶음을 만들고 있는 듯한 모습이 담겼다.
지난 10일 이혜원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이거 먹고 살찜”이라며 “제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 1위 김치 볶음”이라는 멘트와 함께 영상을 게재했다. 그가 공개한 영상에는 돼지고기와 함께 이혜원이 직접 김치 볶음을 만들고 있는 듯한 모습이 담겼다.

밥도둑이라고 알려진 김치는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식품이다. 농촌진흥청 연구에 따르면, 3개월간 숙성된 김치를 먹은 그룹에서 체지방과 총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했다. 김치에 들어가는 고추의 캡사이신 성분이 교감신경을 활성화해 신진대사를 원활히 해 지방 분해와 연소를 촉진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다만, 김치는 염장식품인 만큼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김치엔 100g당 65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1일 나트륨 권장량은 2000mg이다.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살을 찌운다. 실제로 영국 퀸 메리 런던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소금 섭취가 1g 늘면 살찔 위험이 20% 이상 증가한다. 나트륨은 지방을 붙잡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체지방이 잘 빠지지 않게 만든다. 게다가 나트륨은 식욕을 높이는 작용도 한다. 나트륨 섭취가 늘수록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 분비가 줄어드는 반면, 식욕을 자극하는 호르몬 분비는 늘기 때문이다. 이는 음식 섭취량을 증가시켜 살을 찌울 수 있다.
특히 이혜원은 직접 김치를 볶아 먹었는데, 볶을 때 쓰이는 기름 때문에 열량까지 높아질 수 있다. 볶음으로 꼭 먹고 싶다면, 기름 대신 물을 살짝 넣고 볶는 것도 방법이다. 맛은 살짝 떨어질 수 있지만, 이렇게 볶으면 열량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김치를 건강하게 섭취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볶음은 피하고, 권장량에 맞춰 섭취하는 게 좋다. 식사 때(1일 3회 기준)마다 40~60g 정도 먹고, 김치를 먹을 때는 채소 등 칼륨이 풍부한 식품을 함께 먹는 것을 권장한다. 칼륨은 나트륨 배출에 도움이 된다. 또 고혈압, 당뇨, 위염 등이 있는 사람은 1회 40g 이하로 섭취량을 한할 필요가 있다. 특히 김칫국물에는 염분이 더 많기 때문에 가급적 먹지 않는 게 좋다.
다만, 김치는 염장식품인 만큼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김치엔 100g당 65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1일 나트륨 권장량은 2000mg이다.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살을 찌운다. 실제로 영국 퀸 메리 런던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소금 섭취가 1g 늘면 살찔 위험이 20% 이상 증가한다. 나트륨은 지방을 붙잡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체지방이 잘 빠지지 않게 만든다. 게다가 나트륨은 식욕을 높이는 작용도 한다. 나트륨 섭취가 늘수록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 분비가 줄어드는 반면, 식욕을 자극하는 호르몬 분비는 늘기 때문이다. 이는 음식 섭취량을 증가시켜 살을 찌울 수 있다.
특히 이혜원은 직접 김치를 볶아 먹었는데, 볶을 때 쓰이는 기름 때문에 열량까지 높아질 수 있다. 볶음으로 꼭 먹고 싶다면, 기름 대신 물을 살짝 넣고 볶는 것도 방법이다. 맛은 살짝 떨어질 수 있지만, 이렇게 볶으면 열량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김치를 건강하게 섭취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볶음은 피하고, 권장량에 맞춰 섭취하는 게 좋다. 식사 때(1일 3회 기준)마다 40~60g 정도 먹고, 김치를 먹을 때는 채소 등 칼륨이 풍부한 식품을 함께 먹는 것을 권장한다. 칼륨은 나트륨 배출에 도움이 된다. 또 고혈압, 당뇨, 위염 등이 있는 사람은 1회 40g 이하로 섭취량을 한할 필요가 있다. 특히 김칫국물에는 염분이 더 많기 때문에 가급적 먹지 않는 게 좋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