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일본 10대 여학생 사이에서 접착용 공구 '글루건'을 이용한 메이크업이 유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글루건은 글루스틱(Glue Stick)이라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막대를 가열해 이용하는 접착 도구다. 권총의 모습과 닮고, 접착제를 쏘는 총이어서 글루건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뒷부분의 구멍에 글루스틱을 끼우고 방아쇠를 당기면, 방아쇠와 연결된 글루스틱을 잡아주는 부품이 열선이 있는 앞부분에 글루스틱을 밀착시켜 주는데, 이때 녹은 글루스틱 액체가 총구로 밀려 나오면서 원하는 곳에 도포할 수 있도록 돼 있는 구조다. 굳으면 고체가 되며 접착 용도 외에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들 수 있어 공예나 공작에 응용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지난 23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최근 일본 청소년 사이에서 접착제인 글루건을 이용한 '3D 눈물방울 메이크업'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 화장법은 뜨거운 글루건을 이용해 눈물방울 모양을 만들고 이를 뺨에 붙여 눈물이 흘러내리는 모습을 모방한다. 10대 여학생들이 자신의 섬세함을 표출하고 마치 울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함이라고 전해졌다. 글루건에서 나오는 접착제가 뜨거워 피부에 바로 바를 수 없고 대신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표면이 매끄러운 곳에 발라 압축하는 과정을 거친다. 접착제가 식어서 굳으면 조심스럽게 표면에서 떼 가짜 속눈썹 접착제를 사용해 얼굴에 붙인다.
학생들이 주요 소비자인 제품군 홍보 회사 AMF의 대표 리카 시이키는 일본 10대 여학생의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2주에서 한 달 정도만 지속된다고 지적했다. 또 "10대 여학생들은 다양한 스타일을 실험하고, 사진을 찍고 인스타그램과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유하는 것을 좋아한다"며 "이에 따라 저렴한 소재를 활용해 독특한 장식을 만드는 것이 트렌드가 되고 온라인에서 시선을 끌기 위한 독창적인 스타일이 탄생했다"고 설명했다.
3D 눈물방울 메이크업은 글루건 접착제를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학생들이 이를 얼굴에 붙이고 찍은 사진이 SNS에서 큰 화제를 일으켜 일본 전역으로 퍼졌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글루건 접착제가 부족한 상황까지 발생했다. 현지 누리꾼은 "우스꽝스럽고 기괴하다" "눈물보다는 콧물 같아 보인다" "역겹고 전혀 귀엽지 않다" "제발 그만" 등의 반응을 보였다.
글루건 접착제 제조 회사들은 이 물질이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쉽게 일으킬 수 있는 화학 물질이기 때문에 미용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당부했다. 화장품에 쓰이는 화학 물질도 경계해야 하는데, 공업용으로 만들어진 화학 물질이 피부에 닿는다면 독으로 작용하는 물질이 바로 혈액과 림프액으로 흡수된다. 온몸에 퍼지고, 축적돼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며 세포를 파괴할 수 있다. 일본 학생들처럼 압축 과정을 거쳤다 해도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는 경우 위험도는 같다.
피부 화상 위험도 당연히 있기에 일상에서의 메이크업 재료로 적절치 않다. 글루가 나오는 부분의 온도가 최소 100도 이상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에서 발표하는 주요 화상 사고 사례로 달궈진 글루건 분출구를 만지거나 뜨거운 글루건을 놓쳐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학생들처럼 피부에 직접 바르지 않고 매끄러운 곳에 바른다 하더라도 사용 과정에서 화상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다. 잘못하다 피부에 묻어 굳는다면, 억지로 뜯지 말고 즉시 차가운 물에 최소 5분간 화상 부위를 적시는 등의 응급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이후 반드시 화상 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 23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최근 일본 청소년 사이에서 접착제인 글루건을 이용한 '3D 눈물방울 메이크업'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 화장법은 뜨거운 글루건을 이용해 눈물방울 모양을 만들고 이를 뺨에 붙여 눈물이 흘러내리는 모습을 모방한다. 10대 여학생들이 자신의 섬세함을 표출하고 마치 울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함이라고 전해졌다. 글루건에서 나오는 접착제가 뜨거워 피부에 바로 바를 수 없고 대신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표면이 매끄러운 곳에 발라 압축하는 과정을 거친다. 접착제가 식어서 굳으면 조심스럽게 표면에서 떼 가짜 속눈썹 접착제를 사용해 얼굴에 붙인다.
학생들이 주요 소비자인 제품군 홍보 회사 AMF의 대표 리카 시이키는 일본 10대 여학생의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2주에서 한 달 정도만 지속된다고 지적했다. 또 "10대 여학생들은 다양한 스타일을 실험하고, 사진을 찍고 인스타그램과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유하는 것을 좋아한다"며 "이에 따라 저렴한 소재를 활용해 독특한 장식을 만드는 것이 트렌드가 되고 온라인에서 시선을 끌기 위한 독창적인 스타일이 탄생했다"고 설명했다.
3D 눈물방울 메이크업은 글루건 접착제를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학생들이 이를 얼굴에 붙이고 찍은 사진이 SNS에서 큰 화제를 일으켜 일본 전역으로 퍼졌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글루건 접착제가 부족한 상황까지 발생했다. 현지 누리꾼은 "우스꽝스럽고 기괴하다" "눈물보다는 콧물 같아 보인다" "역겹고 전혀 귀엽지 않다" "제발 그만" 등의 반응을 보였다.
글루건 접착제 제조 회사들은 이 물질이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쉽게 일으킬 수 있는 화학 물질이기 때문에 미용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당부했다. 화장품에 쓰이는 화학 물질도 경계해야 하는데, 공업용으로 만들어진 화학 물질이 피부에 닿는다면 독으로 작용하는 물질이 바로 혈액과 림프액으로 흡수된다. 온몸에 퍼지고, 축적돼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며 세포를 파괴할 수 있다. 일본 학생들처럼 압축 과정을 거쳤다 해도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는 경우 위험도는 같다.
피부 화상 위험도 당연히 있기에 일상에서의 메이크업 재료로 적절치 않다. 글루가 나오는 부분의 온도가 최소 100도 이상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에서 발표하는 주요 화상 사고 사례로 달궈진 글루건 분출구를 만지거나 뜨거운 글루건을 놓쳐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학생들처럼 피부에 직접 바르지 않고 매끄러운 곳에 바른다 하더라도 사용 과정에서 화상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다. 잘못하다 피부에 묻어 굳는다면, 억지로 뜯지 말고 즉시 차가운 물에 최소 5분간 화상 부위를 적시는 등의 응급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이후 반드시 화상 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