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많은 사람들이 출퇴근길에 전동킥보드를 이용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전동킥보드 이용량이 증가하면서 안전사고 발생도 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로 인한 안전사고가 2017년 117건에서 2021년 1735건으로 15배 가까이 증가했고, 사망자도 2017년 4명에서 2021년 19명으로 5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동킥보드 사고로 사망에까지 이르지는 않아도 손목이나 손가락, 무릎 부상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전동킥보드 사고, 연골 손상과 골절 위험… 청소년들은 성장판 다칠 수도
전동킥보드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넘어졌을 때 찰과상이나 타박상은 물론 연골이나 인대, 뼈의 손상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전동 킥보드는 상체를 고정하고, 다리는 앞뒤로 일자로 두고 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일정한 자세를 유지해 운행하기 때문에 중심을 잃고 넘어지게 되면 빠르게 대체하기 힘들어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동킥보드의 사고는 주로 급격하게 방향을 전환하거나 급정거를 할 때 발생하기 쉬운데, 이때 넘어지면서 무릎이 뒤틀리거나 강한 충격이 가해져 십자인대나 반월상연골이 파열될 수 있다. 또 손으로 땅을 잘못짚거나 세게 부딪히면 손목과 손가락 골절 등과 같은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성장기 학생들도 전동킥보드를 자주 이용하는데, 아직 성장판이 열려 있을 경우 넘어지면서 성장판을 다치게 되면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사고 발생 시 관절을 고정하고, 얼음찜질을 통해 출혈 감소해야
만약 전동킥보드 주행 중 사고를 당해 부상 부위가 붓고 통증이 심하다면 냉찜질 후 움직이지 않게 단단하게 고정하고 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만약 골절이 의심된다면 부목이 될 만한 물건을 이용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위 관절과 아래 관절을 단단하게 고정하여 추가 손상을 막고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간혹 어깨 관절이 빠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탈구된 어깨를 무리하게 끼워 넣는 것은 주변 인대나 신경을 다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 후 빠르게 병원을 가야 한다.
전동킥보드 사고, 연골 손상과 골절 위험… 청소년들은 성장판 다칠 수도
전동킥보드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넘어졌을 때 찰과상이나 타박상은 물론 연골이나 인대, 뼈의 손상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전동 킥보드는 상체를 고정하고, 다리는 앞뒤로 일자로 두고 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일정한 자세를 유지해 운행하기 때문에 중심을 잃고 넘어지게 되면 빠르게 대체하기 힘들어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동킥보드의 사고는 주로 급격하게 방향을 전환하거나 급정거를 할 때 발생하기 쉬운데, 이때 넘어지면서 무릎이 뒤틀리거나 강한 충격이 가해져 십자인대나 반월상연골이 파열될 수 있다. 또 손으로 땅을 잘못짚거나 세게 부딪히면 손목과 손가락 골절 등과 같은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성장기 학생들도 전동킥보드를 자주 이용하는데, 아직 성장판이 열려 있을 경우 넘어지면서 성장판을 다치게 되면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사고 발생 시 관절을 고정하고, 얼음찜질을 통해 출혈 감소해야
만약 전동킥보드 주행 중 사고를 당해 부상 부위가 붓고 통증이 심하다면 냉찜질 후 움직이지 않게 단단하게 고정하고 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만약 골절이 의심된다면 부목이 될 만한 물건을 이용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위 관절과 아래 관절을 단단하게 고정하여 추가 손상을 막고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간혹 어깨 관절이 빠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탈구된 어깨를 무리하게 끼워 넣는 것은 주변 인대나 신경을 다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 후 빠르게 병원을 가야 한다.
무엇보다 안전한 운행습관도 중요하다.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이어폰이나 휴대전화 사용을 자제하고, 야간이나 우천 시에는 가급적 주행을 하지 않도록 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전동킥보드는 방향지시등이나 사이드미러 등 안전한 주행을 위한 장치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방향 전환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급가속이나 급감속 시 균형을 잃고 넘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급작스러운 작동을 자제해야 한다. 안전보호장구 착용 및 교통법규 준수가 필수적이며, 무릎이나 손목 수술을 받았던 경험이 있다면 전신에 보호장비를 갖춰야 한다. 타기 전 가벼운 스트레칭을 통해 경직된 몸의 근육을 풀어주는 것도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손목 풀어주는 스트레칭>
<손목 풀어주는 스트레칭>

1. 바르게 선 상태에서 오른팔을 앞으로 편다.
2. 오른손 손바닥이 앞에 보이도록 왼손으로 잡고 밑으로 당겨준다.
3. 팔꿈치는 구부리지 않는다.
4. 10초, 5회씩 2세트 진행한다. (반대쪽도 같이 진행)

1. 바르게 선 상태에서 오른팔을 앞으로 편다.
2. 오른손 손등이 앞에 보이도록 왼손으로 잡고 밑으로 당겨준다.
3. 팔꿈치는 구부리지 않는다.
4. 10초, 5회씩 2세트 진행한다. (반대쪽도 같이 진행)
(* 이 칼럼은 강서나누리병원 관절센터 김정욱 진료부장의 기고입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