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절이나 인대 부상을 제외하면 관절 질환은 대게 50대 이상의 환자들이 많다. 특히 연골 손상에 따른 관절 질환은 대부분이 고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퇴행성 관절염이다. 퇴행성 관절염과는 다르지만 10대에서도 ‘박리성 골연골염’이라는 연골 손상에 의한 관절질환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활동량 많은 10대~20대 ‘박리성 골연골염’ 위험
활동량 많은 10대~20대 ‘박리성 골연골염’ 위험
박리성 골연골염은 관절에 지속적인 자극이 가해지면서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연골이 손상되고, 이로 인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뼈가 괴사하여 연골 일부나 전체가 뼈에서 떨어져 나가는 질환이다. 주로 박리성 골연골염은 팔꿈치나 무릎에서 자주 발생하고 활동량이 많은 10대 환자가 많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박리성 골연골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 중 10대 남자 환자가 전체 연령(남, 여) 중 가장 많았다.
치료시기 놓치면 골괴사나 관절염 앞당겨
치료시기 놓치면 골괴사나 관절염 앞당겨
박리성 골연골염은 증상이 심하지 않아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만약 질환을 방치할 경우 관절 내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관절 조직이 괴사한 골괴사증이나 무릎 연골이 닳아 없어지는 퇴행성 관절염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어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만약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한다면 박리성 골연골염을 의심해보고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팔꿈치나 무릎을 움직일 때마다 사각사각 소리가 난다 ▲관절 내 뭔가 끼어 있는 느낌이 든다 ▲관절 주변에 통증이나 붓기, 부종이 생긴다 ▲뼈가 뻣뻣해지는 강직 현상이 발생한다 ▲무릎이 잘 구부러지지 않는 등 관절 운동범위에 제한을 받는다.
박리성 골연골염은 발병 초기엔 엑스레이에서 확인이 불가능해 MRI나 CT 등 정밀 검사를 통해 떨어져 나간 연골손상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검사결과에 따라 연골 두께의 50% 미만 손상인 경우 일상 활동이 제한되어 연골주사나 체외충격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 가능하지만, 50% 이상인 경우 상황에 따라 떨어져 나간 연골조직을 제거하고 관절 괴사부위를 치료하는 미세천공술이나 자가연골 이식술 등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박리성 골연골염은 10대에서 많이 발생하는 만큼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평소 짝다리를 짚고 서 있거나 무거운 가방을 한쪽으로 메는 등 체중이 한쪽 무릎에 쏠리는 행동을 피해야 한다. 또 꾸준한 스트레칭과 근력운동을 통해 무릎 관절 주변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좋다. 평소 축구나 농구, 야구 등 무릎이나 팔꿈치 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을 즐긴다면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은 필수로 해주는 것이 좋고, 운동 중 통증이 느껴진다면 훙분한 휴식으로 관절에 피로감을 풀어주는 것이 관절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건강한 관절 근육을 만들기 위한 스트레칭>
오금에 수건 대고 누르기
만약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한다면 박리성 골연골염을 의심해보고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팔꿈치나 무릎을 움직일 때마다 사각사각 소리가 난다 ▲관절 내 뭔가 끼어 있는 느낌이 든다 ▲관절 주변에 통증이나 붓기, 부종이 생긴다 ▲뼈가 뻣뻣해지는 강직 현상이 발생한다 ▲무릎이 잘 구부러지지 않는 등 관절 운동범위에 제한을 받는다.
박리성 골연골염은 발병 초기엔 엑스레이에서 확인이 불가능해 MRI나 CT 등 정밀 검사를 통해 떨어져 나간 연골손상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검사결과에 따라 연골 두께의 50% 미만 손상인 경우 일상 활동이 제한되어 연골주사나 체외충격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 가능하지만, 50% 이상인 경우 상황에 따라 떨어져 나간 연골조직을 제거하고 관절 괴사부위를 치료하는 미세천공술이나 자가연골 이식술 등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박리성 골연골염은 10대에서 많이 발생하는 만큼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평소 짝다리를 짚고 서 있거나 무거운 가방을 한쪽으로 메는 등 체중이 한쪽 무릎에 쏠리는 행동을 피해야 한다. 또 꾸준한 스트레칭과 근력운동을 통해 무릎 관절 주변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좋다. 평소 축구나 농구, 야구 등 무릎이나 팔꿈치 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을 즐긴다면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은 필수로 해주는 것이 좋고, 운동 중 통증이 느껴진다면 훙분한 휴식으로 관절에 피로감을 풀어주는 것이 관절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건강한 관절 근육을 만들기 위한 스트레칭>
오금에 수건 대고 누르기

1. 무릎 밑에 수건을 둔다.
2. 무릎으로 수건을 누르듯이 힘을 준다.
3. 힘을 줄 때 엉덩이가 바닥에서 뜨지 않도록 한다.
4. 10회로 3~5세트 진행한다. (반대쪽도 같이 진행)
2. 무릎으로 수건을 누르듯이 힘을 준다.
3. 힘을 줄 때 엉덩이가 바닥에서 뜨지 않도록 한다.
4. 10회로 3~5세트 진행한다. (반대쪽도 같이 진행)
누워서 다리 들어 올리기

1.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자연스럽게 구부린다.
2. 왼쪽 다리를 올리고 1~2초간 유지한 뒤 천천히 내린다.
3.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반대쪽 무릎 높이를 넘지 않는다.
4. 10회로 3세트 진행한다. (반대쪽도 같이 진행)
2. 왼쪽 다리를 올리고 1~2초간 유지한 뒤 천천히 내린다.
3.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반대쪽 무릎 높이를 넘지 않는다.
4. 10회로 3세트 진행한다. (반대쪽도 같이 진행)
(이 칼럼은 수원나누리병원 관절센터 남신우 원장의 기고입니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