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처음으로 국내 해수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이 검출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전남 영광군 법성포구, 함평군 월천포구, 제주시 산지천 해수에서 올해 첫 번째로 비브리오패혈증균이 분리됐다고 22일 밝혔다.
전라남도 보건환경연구원 및 국립제주검역소가 지난 14일 채수한 해수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이 분리(2019년 1월 18일)되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비브리오패혈증균 감염에 의해 생기는 급성 패혈증이다. 패혈증은 전신에 염증이 퍼지는 질환이다. 오염된 어패류를 먹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했을 때 감염된다.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나고 발열 후 24시간 이내에 피부 이상 증상이 생긴다. 항생제를 복용 등으로 치료한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일반적으로 해수 온도가 18도 이상 상승하면 5~6월경 첫 환자가 발생해 8~9월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생긴다.
올해는 비브리오패혈증균이 예년보다 2~3개월 빨리 검출됐지만, 아직 해수 온도가 낮아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위험은 낮은 상황이다.
질병관리본부는 강화된 비브리오패혈증균 환경감시를 지속 운영하여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에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