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당국이 코로나19에 대한 면역도를 가늠하기 위해 '항체 검사'를 전문과들과 논의 중에 있다.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권준욱 부본부장은 28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항체 검사와 관련해선 내부적으로, 또 외부 전문가들과도 계속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으로, 아직 최종적으로 확정된 내용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대구·경북지역이 가장 많은 환자를 발견한 지역이기 때문에 (항체 검사를 할 경우) 우선해서 검사를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항체 검사를 시행하는 이유는 증상이 없어 검사조차 받지 않은 숨겨진 감염자를 찾아내기 위함이다. 항체는 이미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에 생기는 것으로, 집단면역 형성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다. 이미 미국에서는 5개 도시 40곳에서 무작위 3000명을 대상으로 항체 검사를 했다. 유럽 각국 또한 코로나19 출구 전략으로 항체 검사를 통한 '면역 여권(Immune Passport)' 제도를 검토 중에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이미 항체가 형성된 사람은 증명서를 부여해 직장생활, 쇼핑, 여행 등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게 하겠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아직 코로나19 항체와 완전한 면역 사이의 관계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에 걸렸다가 나았다고 해서 다시 감염되지 않는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고 말했다. 항체를 가져도 재감염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로 국내에서도 대구시에서만 20건 이상의 완치 후 재확진 사례가 나온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검사로 확인되지 않을 정도로 몸에 약간 남아있던 바이러스가 다시 활발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면역 여권 등 증명서를 발급하면 오히려 감염을 확산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벨기에 바이러스학자 마크 판 란스트 교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항체 검사를 통한 면역 증명서 발급은) 극도로 나쁜 생각"이라며 "면역력을 위조하거나 고의로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사람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