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근 턱끝은 깜찍하고 여성적
V라인은 세련되고 지적인 이미지
여성 사회활동 늘며 V라인 얼굴 각광

한국인의 턱은 어떤 모양일까. 서울 신사동 박상훈성형외과가 작년 10월부터 3개월 간 병원을 찾은 17~45세 여성 589명의 턱 모양을 조사한 결과‘다이아몬드 턱끝(박솔미)’이 290명(49%)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V라인 턱끝(한예슬)’124명(21%),‘U라인 턱끝(윤소이)’63명(11%),‘ 둥근 턱끝(허영란)’37명(6%),‘ 사각 턱끝(박경림)’30명(5%),‘뭉툭한 턱끝(왕빛나)’29명(5%),‘ 배형 턱끝(문근영)’15명(3%),‘ 뾰족한 턱끝(리즈 위더스푼)’1명 등이었다.
이들 여성들 중 124명에게 ‘턱 성형수술을 받는다면 어떤 모양을 원하냐’고 물었다. V라인 턱끝이 66명(53%)으로 가장 많았고, 다이아몬드 턱끝(40명·32%), 배형턱끝(17명·14%) 등의 응답이 나왔다.
박상훈 원장은 “모 음료회사가 V라인 광고를 내보내기 전에 실시된 조사”라며 “V라인 얼굴에 대한 여성들의 선호 경향이 상당한 강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왜 ‘V라인’일까? TV광고 등 영상의 영향도 있지만, 여성들의 사회적 활동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둥근턱끝에 가까운 탤런트 김태희의 얼굴은 여성적이고, 깜찍하고, 복스런 이미지를 주는 반면, 한예슬은 세련되고, 이지적이며, 커리어 우먼 이미지가 더 강하다고 한다.
이런 선호 현상은 성형수술에도 영향을 준다. 초기 턱 성형수술은 주로 양쪽 귀 바로 아래 턱 뼈를 일부 잘라내는 것이었다. 수술이 잘 됐는데도 환자들의 불만이 나왔다. 옆 모습은 좋아졌는데, 앞 모습은 별 변화가 없다는 것. 인상의 90%는 앞 모습에서 결정된다.
성형외과 의사들은 앞모습을 바꾸기 위해 턱뼈의 앞쪽을 깎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그래서 최근에는 뺨 아래 쪽의 턱뼈 3개 층 중 1층을 깎는 수술을 한다.
턱 성형수술은 ‘작은 얼굴’을 선호하는 시대 분위기와도 연관이 있다. 현대 의학이 발전했지만, 실제로 얼굴을 작게 만들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나마 할 수 있는 방법이 광대뼈를 깎는 것인데 ‘작아 보이는 효과’가 있다. 턱 성형도 마찬가지다. 사각 턱을 ‘V라인’으로 만들면 얼굴이 작아 보인다고 한다.
한국 여성들이 선망하는 얼굴 모양은 백인(코카서스인종)의 얼굴이다. 정면에서 봤을 때 옆으로 납작한 동양인들과 달리 백인들은 양 옆이 좁고, 앞뒤가 긴 형태를 하고 있다. 눈도 크고, 코가 높아 입체적인 인상을 준다. 얼굴의 크기가 같아도 이런 얼굴이 더 작아 보이고, 영상에도 잘 어울린다고 한다.
하지만 인위적인 ‘V라인’이 얼마나 개성과 매력이 있을 지는 미지수. 우리나라에서도 시대 별로 미인의 기준이 달랐으며, 10~20년 뒤 어떤 얼굴을 선호할 지 지금은 알 수 없다.
미용 목적의 턱 성형수술은 한국, 일본, 중국에서만 거의 이뤄지고 있다. 백인들은 치료 목적 외에 턱 성형수술을 거의 하지 않는다. 경제수준과 수술기법이 계속 발전할수록 한·중·일 3국 여성들의 얼굴 모양은 점점 백인들처럼 바뀌게 될까.
/ 임형균 헬스조선 기자 hyim@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