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 명절 이후 명절 후유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장시간 운전과 많은 집안일로 인하여 손목이나 무릎과 같은 관절 통증으로 힘들어하는 이들이 많다. 좁은 공간에서 장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 손목과 무릎 관절뿐만 아니라 주변 근육이 긴장하게 되면서 더욱 피로가 쌓인다. 또한 각종 명절 음식을 준비하기 위해 장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서 전을 부치고 이곳저곳 청소를 하게 되면 관절에 큰 부담이 가해진다.
매년 추석 명절 후에는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 2021년 추석 전후로 환자의 수가 9월 86만3435명에서 10월에는 90만1497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본격적인 가을이 시작되어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이럴 때일수록 더욱 관절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 일교차가 클 경우 수축된 근육과 혈관은 혈액순환이 저하되고 유연성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특히나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을 경우에는 관절이 더욱 굳게 되어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또한 추운 날씨로 인해 활동량이 줄어들고 근육량이 감소하여 관절을 지지하기 어려워 통증을 가중되기도 한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손상되어 뼈와 인대에 구조적 문제가 발행해 통증과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관절염과 달리 퇴행성 관절염은 노화로 인한 퇴행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서도 관절염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잘못된 습관과 외상, 과도한 운동, 비만 등의 원인으로 젊은 층에서도 퇴행성관절염이 나타나고 있어 더 이상 노년층만의 전유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연골의 손상 정도에 따라서 퇴행성관절염은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하고 통증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다가 질환이 진행되면서 염증이 심해져 통증이 심해진다. 연골이 지속적으로 손상되면 관절 부위 변형까지 이어지며 통증이 극심하여 참기 힘들고 보행조차 어려워질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이 있다고 해서 수술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연골의 손상 정도에 따라서 치료방법은 상이한데 초기의 경우 통증을 완화하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의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여 호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극심한 통증과 일상생활이 큰 불편함이 있는 경우에는 관절내시경, 인공관절치환수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초소형 카메라와 내시경 기구가 내재된 관을 관절 내부에 삽입하여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수술방법이며, 인공관절치환술은 닳고 거의 없어진 연골을 대신해 크롬, 티타늄, 세라믹 등의 특수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환자의 뼈 모양에 맞게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방법으로 약 15년 이상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한번 손상된 연골은 자연적으로 치료되기 어려워 관절염을 예방하고 질환의 속도를 늦추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습관이 가장 중요하다. 쪼그려 앉거나 양반다리, 무릎을 꿇는 습관을 고치고 체중 조절을 하여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관절 주변의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꾸준하게 운동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증상이 있다면 빠르게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통해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 칼럼은 동탄시티병원 강영훈 원장의 기고입니다.)
매년 추석 명절 후에는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 2021년 추석 전후로 환자의 수가 9월 86만3435명에서 10월에는 90만1497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본격적인 가을이 시작되어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이럴 때일수록 더욱 관절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 일교차가 클 경우 수축된 근육과 혈관은 혈액순환이 저하되고 유연성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특히나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을 경우에는 관절이 더욱 굳게 되어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또한 추운 날씨로 인해 활동량이 줄어들고 근육량이 감소하여 관절을 지지하기 어려워 통증을 가중되기도 한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손상되어 뼈와 인대에 구조적 문제가 발행해 통증과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관절염과 달리 퇴행성 관절염은 노화로 인한 퇴행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서도 관절염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잘못된 습관과 외상, 과도한 운동, 비만 등의 원인으로 젊은 층에서도 퇴행성관절염이 나타나고 있어 더 이상 노년층만의 전유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연골의 손상 정도에 따라서 퇴행성관절염은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하고 통증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다가 질환이 진행되면서 염증이 심해져 통증이 심해진다. 연골이 지속적으로 손상되면 관절 부위 변형까지 이어지며 통증이 극심하여 참기 힘들고 보행조차 어려워질 수 있다.
퇴행성 관절염이 있다고 해서 수술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연골의 손상 정도에 따라서 치료방법은 상이한데 초기의 경우 통증을 완화하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의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여 호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극심한 통증과 일상생활이 큰 불편함이 있는 경우에는 관절내시경, 인공관절치환수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초소형 카메라와 내시경 기구가 내재된 관을 관절 내부에 삽입하여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수술방법이며, 인공관절치환술은 닳고 거의 없어진 연골을 대신해 크롬, 티타늄, 세라믹 등의 특수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환자의 뼈 모양에 맞게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방법으로 약 15년 이상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한번 손상된 연골은 자연적으로 치료되기 어려워 관절염을 예방하고 질환의 속도를 늦추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습관이 가장 중요하다. 쪼그려 앉거나 양반다리, 무릎을 꿇는 습관을 고치고 체중 조절을 하여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관절 주변의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꾸준하게 운동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증상이 있다면 빠르게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를 통해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 칼럼은 동탄시티병원 강영훈 원장의 기고입니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