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작스러운 극심한 통증, X-ray 상 석회 침착이 오십견과의 차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50대에 접어들어 어깨통증을 느끼면 오십견을 먼저 의심한다. 어깨통증의 원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섣부른 자가진단은 금물이다. 어깨질환 중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석회성건염도 50대에 자주 찾아오는 어깨질환 중 하나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석회성건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중 50대가 가장 많았다. 석회성건염은 어깨 힘줄에 석회질이 쌓이면서 염증과 통증을 유발한다. 어깨 힘줄에 쌓이는 석회는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커지는 경우가 있는데, 크기는 0.5mm 이하부터 1cm 이상까지 다양하다. 석회성건염 환자들 중에는 출산의 고통과 비교할 정도의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는데, 석회가 축적되는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어깨 힘줄 부위에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허혈성 손상 및 퇴행성 변화로 인해 힘줄에 석회가 쌓인다고 알려져 있다. 석회성건염은 주로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40~60대에서 흔하게 발생한다. 당뇨병이나 갑상선 질환이 있는 경우 석회성건염의 위험성이 올라간다.
석회성건염은 오십견과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자가진단을 통해서는 구별이 어렵다. 두 질환 모두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의 심한 통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팔 움직이는 것이 힘들어지기도 하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오십견과 석회성건염을 구분할 수 있는 큰 차이는 통증이 나타나는 빈도나 정도가 다르다는 점이 있다. 오십견은 어깨 관절과 주변 조직의 염증이 지속되면서 관절막이 두꺼워지고 섬유화 되어 관절 운동 범위에 제한이 발생하여 팔을 잘 들어 올리지 못하며, 관절 주변에 광범위하게 통증이 있다. 반면 석회성건염은 석회가 침착 및 흡수되는 과정에서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로 갑자기 통증이 발생하고 움직임은 자유롭지만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생기거나 특정 동작에서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석회성 건염은 오십견과 달리 X-ray 및 초음파, MRI 등의 검사에서 석회질이 관찰된다는 것이 다른 점이라 할 수 있다.
■통증 적고 석회 규모↓ 보존적 치료, 통증 심하고 석회 규모↑ 수술적 치료
어깨 석회성건염이라고 무조건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석회의 크기가 작은 경우 약물치료나 주사치료, 체외충격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통해서 치료가 가능하다. 만약 석회가 크거나 보존적인 치료 후에도 호전되지 않으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어깨 통증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부분의 어깨 질환은 무리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팔을 머리 위로 올려서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억지로 비틀거나 빠르게 휘두르는 동작 등은 주의해야 한다. 만약 어떠한 동작을 했을 때 어깨에 통증이 생긴다면 그 동작은 피해야 한다. 또 꾸준한 스트레칭도 어깨 건강에 도움이 된다. 평소 당뇨나 갑상선 질환을 앓고 있다면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도 어깨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어깨 통증 및 예방에 좋은 운동법

1) 의자를 잡고 상체를 기울인다
2) 운동하고자 하는 팔에 힘을 빼고 내린 다음 원을 그린다.
3) 60초 유지하고 5회 반복한다. 운동은 2세트로 진행한다.

1) 수건을 등 뒤로 잡는다.
2) 상체는 고정한 채 안 아픈 팔을 위로 당긴다.
3) 10초간 유지하고 15회 반복한다. 운동은 2세트로 진행한다.
(* 이 칼럼은 강서나누리병원 서정현 과장의 기고입니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