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암 발생률 더 낮다"…이유는?

입력 2022.04.12 15:47

장애 진단 이후 암 발생률과 사망률을 조사한 국내 첫 연구

의사 프로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전하라 교수​/사진=일산병원 제공

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보다 암발생률이 0.9배로 더 낮다는 국내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전하라 교수 연구팀은 '장애인에서의 암 발생률 및 생존률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맞춤형 건강정보자료를 이용하여 첫 장애등록일자가 2004년부터 2010년인 19세 이상의 장애인 가운데 ‘C’로 시작하는 상병코드(ICD-10)를 주 상병으로 청구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장애인과 성, 연령, 소득순위, 거주지 특성을 맞추어 1대1 성향점수매칭을 시행하여 비장애인을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암 발생률은 장애인의 경우 11.0%, 비장애인의 경우 12.1%로 비장애인에 비해 장애인에서 암 발생률이 0.9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 검진율 또한 장애인의 경우 67.1%, 비장애인 73.0%로 장애인에서 0.76배 낮았다. 반면, 암 치료를 받지 않은 비율은 장애인 40.9%, 비장애인 32.3%로 장애인에서 암 치료를 받지 않은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 발생 이후 사망률은 장애인에서 58.3%, 비장애인 55.9%로 비장애인에 비해 장애인에서 사망률이 1.05배 높았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에 비해 암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의학적 서비스의 이용이 어려워 비장애인에 비해 암 발생율은 낮고 사망률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장애등급을 중증(1~3등급)과 경증(4~6등급)으로 나눠 비교한 결과에서는 중증 장애인에서 암 발생률이 낮은 반면 사망률은 높고, 암 검진률이 낮았다. 또한 암 치료를 받지 않은 비율과 진행암의 비율 역시 경증보다 중증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중증 장애인들이 암 서비스에 접근하는 데 있어 다양한 장벽에 직면하고 있으며, 보다 심한 신체적 장애로 인하여 암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해 암 진단을 위한 의학적 서비스의 이용이 어렵기 때문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하라 교수 연구팀은 "암과 장애를 함께 안고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장애인들에게 암 예방부터 암 조기 진단, 치료까지 전주기적으로 암 서비스가 적절하고 유연하게 제공돼야 하며, 이는 장애의 정도가 심한 중증 장애인일수록 그 필요성이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