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위험 지표, 남성은 체질량지수… 여성은 뱃살 여부?

비만한 남성 사진
남성은 체질량 지수가 높을 때, 여성은 복부 비만일 때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성별에 따라 비만이 남성과 여성의 대장암 발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브리스톨대학 연구팀은 대장암 환자 5만8000명 이상과 건강한 성인 약 6만8000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비만 정도와 대장암 발병 위험의 관계를 연구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BMI)와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WHR)을 조사했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연구팀은 25 이상이면 과체중,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간주했다.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은 허리둘레를 엉덩이둘레로 나눈 수치로, 여성은 0.85, 남성은 0.9 이상이면 복부비만이다.

연구 결과, 남성은 체질량 지수가 높을 때, 여성은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이 높을 때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았다. 남성은 체질량지수 4.2 kg/㎡당 대장암 위험이 23% 높아졌지만, 여성은 체질량지수 5.2 kg/㎡당 9% 높아지는 것에 불과했다.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이 0.07 증가할 때, 여성은 대장암 위험이 25% 늘어났지만, 남성은 5% 증가했다. 연구팀은 남성은 체질량지수가, 여성은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이 대장암 발병과 연관성이 강한 이유에 관해선 밝히지 않았다.

연구를 진행한 엠마 빈센트 연구원은 "암 예방을 위해 노력할 때 남성과 여성의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어야 한다"며 "앞으로 체지방 증가가 대장암 위험을 높이는 기전과 암 위험을 낮추기 위한 방법에 관해 추가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영국 암 연구소의 보건정보국장 나타샤 파톤은 "대장암 위험을 줄이려면 적정 체중을 유지하면서 식이섬유는 많이 섭취하고 붉은 육류와 가공육은 적게 섭취하는 식습관을 실천해야 한다"며 "술은 적게 마시고 금연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BMC 의학(BMC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