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연골판 파열, 그냥 두면 퇴행성관절염 빨리 와

입력 2013.08.21 09:06

[메디컬 포커스]

김도연 김영수병원 부원장
김도연 김영수병원 부원장
몇달 전 바다에서 윈드서핑을 즐기는 20대 청년이 "한달 전부터 계단을 올라갈 때 오른쪽 무릎이 아프다"며 필자에게 진찰을 받으러 왔다. 오른쪽 무릎 안쪽을 누르면 통증이 생기는 점으로 보아 내측 반월상연골판 파열이 의심됐다. 윈드서핑을 하면서 무릎을 심하게 돌리는 동안 파열됐을 것으로 짐작됐다. 필자는 MRI(자기공명영상) 검사를 권했지만, 환자는 "비용 부담이 크고 증상이 심하지 않다"며 거부했다. 그는 영상촬영 검사 없이 두달 간 물리치료를 받았지만 증상이 심해졌다. 결국 MRI를 찍은 결과, 처음에 의심한 것처럼 내측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돼 있었다. 관절경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정형외과에는 무릎 통증을 호소하며 찾아오는 사람이 많다. 젊은 환자는 운동을 하다가 다친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수술까지 할 필요는 없다. 급성 스포츠 손상인 경우는 얼음 찜질, 하지 거상, 부목 고정 등의 보존적 치료만 해도 충분히 회복된다. 급성기가 지난 통증도 대퇴사두근을 강화하는 물리 치료 등으로 좋아진다.

그러나, 무릎의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예외다.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 관절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있는 C자 형태(반달 모양)의 디스크로, 충격 흡수와 분산, 관절 연골 보호, 관절 윤활, 관절 영양 공급 등 여러가지 중요한 기능을 한다.

반월상연골판에는 혈관이 없기 때문에 한번 손상되면 스스로 회복되지 않고, 시간이 지날수록 찢어진 부위가 확대된다. 오래 방치하면 수술 뒤 남겨 놓을 수 있는 온전한 부위가 별로 없게 된다. 그러면 퇴행성 관절염이 급속하게 진행된다. 또, 찢어진 반월상 연골판 조각은 무릎을 굽혔다가 펼 때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끼어서 무릎 관절 연골을 손상시킨다. 결국 수술로 찢어진 부분을 최대한 빨리 절제해야 온전한 부위가 무릎에서 충격 흡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은 가벼운 운동을 하다가도 무릎이 회전하면서 생길 수 있다. 환자는 주로 계단을 내려가거나 올라갈 때 통증을 호소하며, 양반 다리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일정한 증상이 생기지는 않으며, 평소에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무릎에 통증이 생기면 일단 정형외과에 가서 진료를 받아보는 게 좋다.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됐는지는 MRI 촬영을 해야 진단할 수 있다. 엑스레이나 CT(컴퓨터단층촬영)로는 정확한 진단이 안 된다. 치료는 관절내시경 수술로 한다. 피부를 1㎝ 미만으로 약간만 째고 수술하기 때문에 출혈이 적고 합병증이 거의 없다. 수술 당일에 부기만 빠지면 바로 걸을 수 있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