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게 호발하는 1위 암인 위암. 가족력에 헬리코박터균까지 있으면 위험률이 얼마까지 높아질까?
부모, 형제가 위암일 경우 위암 발병률이 2.85배가 더 높고, 위암환자의 직계가족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됐을 경우에는 그 위험이 5.3배까지 치솟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2003년 5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위암 환자군 428명과 위암이 아닌 환자군 368명을 대상으로 위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했다. 그 결과, 위암 발병률은 직계 가족 중 위암이 있을 경우가 2.85배로 가장 높았고, 헬리코박터 감염이 있을 경우에는 1.85배, 흡연자는 1.83배, 어린 시절 시골에 거주했을 때는 1.53배, 매운 음식을 즐기는 경우에는 1.51배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0/03/22/2010032200935_0.jpg)
위암 발병률은 소득 수준과도 관련 있었다. 월 소득이 500만원 이상과 100만원~500만원 사이 구간을 비교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500만원 이상과 100만원 이하를 비교한 집단에서는 100만원 이하에서 2.16배 더 높은 발병률을 나타냈다.
김나영 교수는 “어린 시절의 주거형태가 위암 발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 5세 미만의 어린 나이에 일어나기 때문”이라며 “헬리코박터는 위생상태가 좋지 않은 시골에서 더 잘 감염되는데, 성인이 되어 도시생활을 하더라도 유년기를 시골에서 보냈다면 위암 발병률이 더 높아지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들 위험인자는 단독으로 있을 때보다 복합될 때 더 큰 위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위암 직계 가족력과 헬리코박터가 동시에 있을 경우에는 위암 발병률이 무려 5.32배로 높아졌고, 위암 가족력이 있으면서 흡연을 한 경우에는 4.86배 더 높아졌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점막에 서식하는 세균으로 최근 들어 위암의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로 밝혀지고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되면 점차 만성 위염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헬리코박터균이 위 안에 존재하는 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결국은 위 점막을 얇게 만드는 위축성 위염을 일으키기 때문. 위축성 위염은 위세포 모양을 장세포 모양으로 변형시키는 ‘장상피화생’을 동시에 일으키는데, 이러한 위축성 위염과 장상피화생이 오랜 세월이 흘러 결국 위암으로 발전하게 된다.
2005년도 우리나라 16세 이상 헬리코박터 감염 유병률은 59.6%로 조사될 만큼 한국인들에게 흔하다. 이 중 80%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자 모두에게 제균 치료를 권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 위암 직계 가족력이 있는 헬리코박터 감염자는 반드시 제균 치료를 해야 한다는 가이드를 제시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위암 전단계인 위축성 위염과 장상피화생이 위암으로 발전하는데 10~20년이 소요되고, 50대 이후부터 위암 발병률이 급증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헬리코박터 제균치료는 장상피화생이 발생하기 전인 20~29세 연령대가 가장 효과적이다.
김나영 교수는 “위암 직계 가족력이 있다면 20대 젊은 연령에서 헬리코박터 감염 여부를 검사하여 적극적인 제균 치료를 해야 한다”며 “한국인에게 호발하는 부동의 1위 암인 위암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헬리코박터균 검사와 치료에 의료보험 적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소화기 학회지인 ‘Journal of Clinical Gastroenterology’ 2월호에 게재됐다.
| 구분 | 위암 발병률 |
가족력과 헬리코박터균 | 가족력 × 헬리코박터균 감염 × | 1 |
가족력 × 헬리코박터균 감염 ○ | 1.58 | |
가족력 ○ 헬리코박터균 감염 × | 1.33 | |
가족력 ○ 헬리코박터균 감염 ○ | 5.32 | |
가족력과 흡연 | 가족력 × 비흡연 | 1 |
가족력 × 흡연 | 1.88 | |
가족력 ○ 비흡연 | 3.12 | |
가족력 ○ 흡연 | 4.86 |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여부 어떻게 알 수 있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감염 여부는 혈액검사나 위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 점막요소검사 및 요소호기검사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헬리코박터 제균치료는 강력한 위산분비억제제에 2가지 항생제를 포함하는 삼제요법을 1~2주간 복용한다. 하지만 약 80%에서 제균에 성공하고 20%에서는 실패하기 때문에 치료 1개월 후에 요소호기검사 등을 통해 제균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占쎌쥙�⒳펺�뗭삕占쏙옙�뗭삕占쎈끏已�뜝�뚯쪠占싸우삕占쎈Ŋ�뺝뜝�뚯뒠占쎌궍�앾옙�덉굲�좎럩伊숂뙴�묒삕�좑옙](https://health.chosun.com/img/2023/healthn.png)
-
-
-
占쎌쥙�⒳펺�뗭삕占쎌눘�뺝뜝�덈쾴占쎌뭿�앾옙�덉굲�좎럥�띰옙�얠삕占쏙옙裕∽옙醫롫쑌繹먮쨪�숋옙�좎굲�좎럥�녷뤃占�
占쎌쥙�⒳펺�뗭삕占쎈벊彛띸넭怨롫봿援뀐옙醫롫윥筌띯뫜�숋쭚�숆퐷占썩뫅�®댚�뺣쐪筌먦끉�ε뜝�뚮묄占쎌닂�숋옙占쎈쑄�좎럩伊숋옙��쨨占쎌눘�뺝뜝�덈열占쎈틹異�솒�곸굲嶺뚮씮�싷옙�곻옙�ㅳ늾占쎈떱�앾옙�덉굲,�μ떝�띄몭��숋옙袁㏉떋占쎈쵎占썹뙴�됱삕�좑옙 占쎄퓭爰귨옙�륁삕影��됱춱�좎럩猷뉛옙類㏃삕�ル쵐�� 占쎌쥙�⒳펺�뗭삕占쎈��띸춯��뫒占쎈틹���⑤∥遊욘뤃轅⑤쐻占쎈슣履e뜝�숈삕 占쎌쥙�∽옙��삕占쏙옙�뗭삕占썩뫗留띰옙醫롫윥占쎄쐼�앾옙諭��▼뜝�꾪뜑占쏙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뀐옙醫롫윥筌잙돍�숋쭚�껋굲占썬꺂理먲옙占�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쎌슜�� 占쎌쥙�⒳펺�뗭삕�앾옙�껋쪎占쎈낄異o옙醫롫윥占쏙퐦�숋쭚�껋굲占썬꺂理먲옙占� 占쎌쥙�∽옙占쎌쒜占쎈Ŧ�띶뜝�꾪�e뜝�숈삕�ル쵐��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
-
-
-
占쎌쥙�∽옙��삕占쎌눣瑗사넭怨롫봿援뀐옙醫롫윪占쎌슱�숋쭚�몄맶�좎럥�놅㎖酉대쐻占쎌늿��
[占쎌쥙�⒳펺�뗭삕占쎈��띶뜝�꾪�e뜝�숈삕�ル쵐��24占쎌쥙�⒳펺�귣쇀占쎈쵐�뺧옙醫묒삕] 占쎌쥙�⒳펺�뗭삕占쎈벊彛띸넭怨롫봿援뀐옙醫롫윪亦끸댙�숋옙�낆맶�좎럥�o옙占쎌땡�믭옙梨얍뜝�뚮땬占쎌닂彛쀨쥈�룸렊�좎럩伊숋옙�쎌삕占쎈벊�뺧옙醫롫윥占쏙옙�앾옙��첓�좎떥�곗굲�좎뜫爰덌옙�낅꽞嚥▲꺃�끻뜝�뚯쪠占쎄랬�쇿뜝�뚮꼥�좎룞�숂뙴源띿삕�ル∥�욃뜝�쇰씮�뺧옙醫롫윪占쎈틶�앾옙紐꾧텭占쎌뼇�억옙戮�덱�좎럡�댐옙�뗭삕占쎄낯援뀐옙��썹땟類㏃삕�좎럩�뺧옙�モ닪筌욎�λ쐻占쎌늿�� 占쎄퓭爰귨옙�륁삕�좎럩�뺧옙醫롫윥占쎈뵃�숅넫臾믪굲 占쎌쥙�⒳펺�귣쇀占쎈쵐�뺧옙醫묒삕
-
-
-
-
占쎌쥙�⒳펺�뗭삕占쎈쓹�뤷뜝�덉탮占쎌옃�얍뜝�뚮쳮�좎럥�띰옙�얠삕占쏙옙�곤옙醫롫윥塋딅뛼�놅옙�ル�嶺뚮ㅏ援�옙�귨옙�쒓낯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쏙옙�뺝뜝�덈쾴占쎈벨�숅넫濡レ뱻�좎룞�숋옙�좏돦�좎럡�� 占쎌쥙�⒳펺�뗭삕占쎈쓹�뤷뜝�덉뒧占쎈ㅇ�앾옙��룫�좎럥�占쎌빢�숋옙�깃뎔占쎌쥙猷욑옙占�, 占쎌쥙�⒳펺�뗭삕占쎌럩�뺝뜝�댢딉옙類앸쐻占쎈슢�ゅ뜝�덊떢占쎌빢�숋옙�뉖춴�좎럡��占쏙옙 占쎌쥙�∽옙�먯삕�좎럥釉뜹뜝�숈삕占쎌뭿�앾옙�덉굲�좎럥踰⑨옙�낅꽞�얜�援� 占쎌쥙�⒳펺�뗭삕占쏙옙�뺝뜝�숈삕占썩뮪�앾옙��쑋�좎럥踰⑨옙�낅꽞�얜�援� 占쎌쥙�⒳펺�뗭삕占쎌럩�뺝뜝�뚮윪占쎈벨�숅넫臾믪굲 �좎럩伊숋옙恝�숅뀎洹μ굲�좎뜫猷쀯옙�k쐻占쎈슢�뚦뜝�덈꺼占쎌늼�ヨ눧誘り뎡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쎈슣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쎈쓹�뤷뜝�덈㎥占쎌뭿�앾옙�덀렏�좎럥�띰옙�얠삕占쎈뜃愿묕옙醫롫짗占쏙옙 占쎌쥙�∽옙�먯삕�좎럥釉띄춯誘↔데筌앾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