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방세동 환자에서 좌심방이를 '절제'하지 않고, 입구를 '폐쇄'했을 때 더 효과적으로 뇌졸중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세동 환자는 일반인보다 뇌졸중 발생 위험이 5배나 높다. 90% 이상이 좌심방이에서 혈전이 생겨 유발된다. 좌심방이는 좌심방 옆에 붙어 있는 귀처럼 생긴 조직으로, 잘라내더라도 심장 기능에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정동섭·임석경 교수, 건강의학본부 김주현 교수, 영상의학과 김성목 교수 연구팀은 좌심방이를 절제하는 것과 입구를 막는 좌심방이폐색술 중 더 효과 있는 치료법을 찾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2012년 2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흉강경으로 부정맥 수술 치료를 받은 환자 305명을 대상으로 방법에 따른 차이를 분석했다. 실험 참가자의 평균 나이는 56.8세였다. 실험 참가자 중 206명은 기존처럼 좌심방이를 잘라내는 수술을 받았고, 나머지 90명은 좌심방이 입구를 클립으로 막는 폐색술을 받았다.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수술 후 30일 이내 사망은 없었다. 좌심방이 수술의 성공 기준으로 삼는 폐쇄율을 비교했을 때 폐색술이 95.6%로 절제술(83%)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좌심방이의 잔존 조직 길이가 폐색술을 한 경우 2.9mm로 절제술(5.3mm) 보다 짧았다. 좌심방이 절제술은 심장의 일부를 직접 잘라내기 때문에 출혈의 위험이 있고 좌심방이 크기가 너무 커졌을 때는 완전하게 절제하지 못해 잔존 조직이 남는 경우가 있다.
정동섭 교수는 “클립을 이용한 흉강경하 좌심방이폐색술이 안전성뿐 아니라 좌심방이 폐쇄와 좌심방이 조직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게 입증됐다”며 “수술로 심장을 직접 잘라내는 부담, 출혈 위험 등이 있었던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걱정을 덜어드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흉부외과학회지(The Annals of Thoracic Surgery)’ 최근호에 게재됐다.
심장세동 환자는 일반인보다 뇌졸중 발생 위험이 5배나 높다. 90% 이상이 좌심방이에서 혈전이 생겨 유발된다. 좌심방이는 좌심방 옆에 붙어 있는 귀처럼 생긴 조직으로, 잘라내더라도 심장 기능에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정동섭·임석경 교수, 건강의학본부 김주현 교수, 영상의학과 김성목 교수 연구팀은 좌심방이를 절제하는 것과 입구를 막는 좌심방이폐색술 중 더 효과 있는 치료법을 찾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2012년 2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흉강경으로 부정맥 수술 치료를 받은 환자 305명을 대상으로 방법에 따른 차이를 분석했다. 실험 참가자의 평균 나이는 56.8세였다. 실험 참가자 중 206명은 기존처럼 좌심방이를 잘라내는 수술을 받았고, 나머지 90명은 좌심방이 입구를 클립으로 막는 폐색술을 받았다.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수술 후 30일 이내 사망은 없었다. 좌심방이 수술의 성공 기준으로 삼는 폐쇄율을 비교했을 때 폐색술이 95.6%로 절제술(83%)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좌심방이의 잔존 조직 길이가 폐색술을 한 경우 2.9mm로 절제술(5.3mm) 보다 짧았다. 좌심방이 절제술은 심장의 일부를 직접 잘라내기 때문에 출혈의 위험이 있고 좌심방이 크기가 너무 커졌을 때는 완전하게 절제하지 못해 잔존 조직이 남는 경우가 있다.
정동섭 교수는 “클립을 이용한 흉강경하 좌심방이폐색술이 안전성뿐 아니라 좌심방이 폐쇄와 좌심방이 조직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게 입증됐다”며 “수술로 심장을 직접 잘라내는 부담, 출혈 위험 등이 있었던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걱정을 덜어드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흉부외과학회지(The Annals of Thoracic Surgery)’ 최근호에 게재됐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