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환자실에 전담전문의가 있으면 중환자 사망률을 평균 22%까지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환자실 전담전문의 제도는 중환자의학 전문의가 주 5일 이상 평일 낮 시간대 중환자실에 상주하는 제도로, 환자 상태에 대한 전문적인 조언과 치료 방향성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국내 중환자실 전담전문의는 2022년 기준 1774명에 달한다.
분당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송인애·오탁규 교수팀은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전담전문의 유무에 따른 중환자 사망률을 비교했다. 연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114만7493명과 2020년 10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코로나19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1만310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전담전문의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중증 코로나19 환자 또한 연구 대상에 추가했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산소치료가 불필요한 환자(1급)부터 승압제와 투석 또는 에크모 사용이 필요한 환자(6급),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진단 환자 등으로 분류됐다.
연구 결과, 전담전문의에게 치료를 받은 중환자 비율은 2016~2019년 42%, 2020~2021년 20.2%로 나타났다. 전담전문의의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중환자실 내 사망률은 전담전문의의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평균 22% 낮았으며, 1년 내 사망률 또한 15%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의 경우 사망률이 28%까지 낮아졌고, 질병 예후가 좋지 않아 사망률이 높은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는 사망률이 36% 감소했다.
연구팀은 전담전문의 인력확충이 중환자 장·단기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에서 더욱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오탁규 교수는 “전담전문의는 환자 평가·치료 방향에 대한 전문가적 조언을 골든타임 내 제공하기 때문에 사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며 “중환자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전담전문의 고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중환자 진료는 젊은 의사들이 기피하는 필수의료 중 하나로, 과도한 업무와 소송 위험 때문에 전담전문의가 되고자 하는 의사들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만큼 더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SCI 저널 ‘집중치료연보’과 일본 중환자의학회 공식 출간물 ‘JIC(Journal of Intensive Care)’에 게재됐다.
분당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송인애·오탁규 교수팀은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전담전문의 유무에 따른 중환자 사망률을 비교했다. 연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114만7493명과 2020년 10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코로나19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1만310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전담전문의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중증 코로나19 환자 또한 연구 대상에 추가했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산소치료가 불필요한 환자(1급)부터 승압제와 투석 또는 에크모 사용이 필요한 환자(6급),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진단 환자 등으로 분류됐다.
연구 결과, 전담전문의에게 치료를 받은 중환자 비율은 2016~2019년 42%, 2020~2021년 20.2%로 나타났다. 전담전문의의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중환자실 내 사망률은 전담전문의의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평균 22% 낮았으며, 1년 내 사망률 또한 15%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의 경우 사망률이 28%까지 낮아졌고, 질병 예후가 좋지 않아 사망률이 높은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환자는 사망률이 36% 감소했다.
연구팀은 전담전문의 인력확충이 중환자 장·단기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에서 더욱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오탁규 교수는 “전담전문의는 환자 평가·치료 방향에 대한 전문가적 조언을 골든타임 내 제공하기 때문에 사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며 “중환자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전담전문의 고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중환자 진료는 젊은 의사들이 기피하는 필수의료 중 하나로, 과도한 업무와 소송 위험 때문에 전담전문의가 되고자 하는 의사들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만큼 더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SCI 저널 ‘집중치료연보’과 일본 중환자의학회 공식 출간물 ‘JIC(Journal of Intensive Care)’에 게재됐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