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칼럼] 운동 때문에 관절이 아프다면?

의사 프로필
아산재건정형외과 조훈식 원장

요즘 트렌드 중 하나인 '오하운'이란 단어,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오늘 하루 운동'의 줄임말로 운동으로 자기 관리를 하면서 일상의 행복과 자존감을 성취하는 것입니다. 이 오하운은 코로나19가 시작되면서 생긴 트렌드로 코로나바이러스로 건강과 면역력 관리에 관심이 많아지고 외부 활동이 쉽지 않게 되면서 집에서 하는 홈트(Home Training, 홈트레이닝)가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집에서 혼자 하는 잘못된 운동 자세로 병원을 찾는 분들도 늘어났다는 거 알고 계시나요?

#스쿼트 #무릎부상 #무릎관절조심 #반월상연골판
하체 근력 발달과 혈액순환을 개선해 전신 건강에도 많은 도움을 주는 스쿼트가 인기입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스쿼트 챌린지를 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한정된 공간에서 손쉽게 할 수 있어 집안서도 많이 하는 운동입니다. 하지만 잘못된 스쿼트 자세는 몸의 하중이 앞으로 지나치게 쏠리면서 무릎 관절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무릎 연골이 손상될 수 있어 ‘반월상 연골판’과 같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초기에 발생한 경미한 손상은 약물이나 주사 치료 등으로 통증을 완화하고 염증을 가라앉힐 수 있지만 무리한 자세로 연골판이 심하게 찢어지게 되면 관절경을 이용한 절제술이나 봉합술 같은 시술을 통해 치료를 해야 합니다.

#덤벨 #바벨 #어깨부상 #어깨충돌증후군
어깨를 사용하면서 하는 운동이 많이 있는데요 갑작스럽게 운동을 시작하면 근육이 놀라 부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높아지기 때문에 운동 전 간단한 스트레칭은 필수입니다. 준비 운동 없이 높은 중량의 바벨이나 덤벨을 들어 올려 어깨 관절에 부담이 가고 잘못된 자세로 무게 중심이 무너지게 되면 어깨 관절의 인대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운동 중 부상으로 발생되는 대표적인 질환이 ‘어깨충돌 증후군’입니다. 어깨충돌 증후군은 어깨 관절을 덮고 있는 견봉과 회전근이 서로 충동해 염증과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어깨를 들어 올릴 때 통증이 특히 심하게 나타나고 어깨 앞부분에서 날카로운 통증이 지속됩니다. 어깨를 움직일 때 딱딱거리는 소리가 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증상들을 가볍게 여기고 계속 운동을 하게 되면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운동을 하면서 건강을 관리하고 싶다면 그 순간을 참지 말고 바로 병원으로 내원하여 치료받으시기 바랍니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 체외충격파 치료와 도수치료 등이 있습니다. 통증을 완화하고 운동 제한 증상을 풀어주는 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준비운동필수 #충분한한스트레칭 #바른자세 #무리하지않기
자기관리를 위해 운동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무리하지 않고 바른 자세로 정확하게 동작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운동 전에는 반드시 스트레칭으로 몸을 이완시켜주고 이제 운동을 시작할 거라는 신호를 몸에 보내주세요. 천천히 그리고 가벼운 동작으로 시작해서 강도를 올리면서 하시기 바라며 거울을 보면서 자세를 확인하고 정확한 동작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건강을 위해 하는 운동 때문에 다쳐서 아프게 되면 안 되겠지요. 우리 몸의 관절을 아끼고 잘 사용하면서 무리 없이 건강한 일상을 지켜 나가시기 바랍니다.

(*이 칼럼은 아산재건정형외과 조훈식 원장의 기고입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