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칼럼] 심해지는 무릎통증… 퇴행성 관절염 치료법은?

입력 2022.05.04 09:55
의사 프로필
동탄시티병원 이상진 원장​

따뜻한 봄 날씨가 이어지면서 관절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동안 코로나19 유행으로 야외활동이 줄었다가 봄철 날씨에 야외활동을 즐기는 경우가 많아서다. 이렇게 갑작스러운 운동은 관절염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 시기에 대표적인 질환이 무릎관절증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국내 퇴행성관절염 환자 수는 약 400만 명으로 집계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요즘과 같은 날씨에 점점 무릎관절을 앓고 있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추운 날씨에 경직된 무릎 주변에 유연성이 떨어졌다가 갑자기 움직인 영향으로 질환이 나타나는 것이다. 무릎은 다른 부위보다 사용량이 많으므로 질환에 노출되기가 쉽다.

연골은 손상되면 자연 재생이 되지 않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는 초기에 진료 후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연골 손상이 심하지 않은 초중기의 환자라면 주사 요법이나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빠르게 증상이 개선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주사 치료는 히알루론산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같은 성분의 연골주사를 무릎 관절 내로 직접 주입하여 연골 윤활제 역할을 하고 통증도 감소시킬 수 있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높은 강도의 에너지가 통증 부위에 충격을 주어 염증반응을 감소시켜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치료이다.

만약 증상이 심하고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로 골연골 손상이 심하여 조직이 거의 없어진 상태라면 단순히 보존적인 치료만으로는 호전되기 힘들기 때문에 관절내시경 및 휜다리교정수술,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하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나 인대가 손상되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무릎이 아파 오래 걷기 힘들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이 시큰거리고 쑤신다. 특히 바닥에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관절을 움직이기 어렵거나 무릎이 쭉 펴지지 않는 것도 대표적인 증상이다.

퇴행성관절염은 진행 상황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로 구분한다. 골연골 손상이 비교적 경미한 초기의 환자라면 체중을 싣고 걸어 다닐 때 가벼운 무릎 통증이 나타난다. 질환이 계속 진행되면 움직임과 관계없이 지속적인 통증이 나타나게 되고 중기나 말기의 환자라면 연골이 닳아 모양이 변하고 관절에서 마찰음도 느끼게 된다. 또 축구나 농구와 같은 스포츠를 즐기다가 십자인대와 같은 인대가 파열된 경우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외부 활동을 한 후 통증을 느낀다면 방치하지 말고 정형외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인공관절 수술은 보전적 치료로 호전이 안 되고 통증이 심할 때 시행하는 치료법으로 손상된 관절을 제거하고 특수 금속 재질로 구성된 인공관절을 삽입해 관절 기능의 회복을 돕는다. 인공관절 수술을 하면 극심한 무릎 통증 없이 일상생활이 가능한데다 예전에 비해 사용 기간이 많이 늘어나 수술을 고려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수술 후에는 재활치료를 하면서 관절의 운동 범위를 넓히게 되고, 환자마다 개인차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3개월 정도가 지나면 통증 없이 일상생활이 가능해진다.

연골은 한번 닳아 없어지면 다시 되살리기 힘든 신체 부위이므로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소 자세와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 무릎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을 주의하고, 대표적으로 바닥에 앉는 좌식 생활이나 쭈그려 앉아서 일을 하는 자세는 연골을 빨리 닳아지게 할 수 있으며, 오래 걷거나 장시간 서 있는 것도 관절에 좋지 않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이 칼럼은 동탄시티병원 이상진 원장의 기고입니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