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가 '십자인대 파열'이다. 십자인대는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로 구분된다. 두 십자인대는 무릎을 탄탄하게 잡아주고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도와주지만, 파열되기 시작하면 강한 통증을 유발하며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그렇다면 두 십자인대 중 어느 곳에 파열이 생겼는지 구별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파열음을 동반하거나 무릎 통증과 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주원인은 스포츠 활동 중 강한 충격을 받거나 갑작스러운 자세 변경 등 비접촉 손상이다. 하지만 증상이 빠르게 사라지는 경우도 있어 손상을 방치하는 환자가 많다.
후방십자인대는 접촉성 충돌을 원인으로 발생하며 뒤쪽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해당 증상은 무릎을 구부릴 때 경골이 과도하게 빠져있는 경우 파열 증상을 의심할 수 있으며, 전방십자인대와 마찬가지로 파열되는 느낌이나 소리를 느끼지 못하는 환자들이 많아 정확한 진단을 위해선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십자인대파열을 검사하기 위해선 MRI 등의 정밀 영상검사가 필요하다. 검사를 통해 연부조직의 상태를 파악 후 파열 정도에 따라 1도 손상(경한 손상), 2도 손상(중등도 손상), 3도 손상(심한 손상)으로 구분되며 증상이 심각할수록 수술 치료를 통해 빠른 시간 내 해결하는 것이 안전하다.
바른마디병원 관절센터 이암 원장은 "십자인대파열은 증상 초기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는 경우 관절의 기능이 마비되거나 더 큰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평상시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몸을 푸는 것 역시 파열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해당 부위의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전문 병원을 방문해 수술적 치료를 통해 적극적으로 해결할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