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코트 컵 위생 상태 조사해보니‥

입력 2011.05.06 09:49
조선일보 DB
주부 김모(43·목동)씨는 대형마트 푸드 코트를 이용할 때마다 물 마시는 것이 조심스럽다. 자외선 살균기에 비치된 컵 때문이다. 살균기에 소독한다고는 하지만 여러 사람이 같이 쓰는 컵이라 소독이 잘되는지 궁금하기만 하다.

◆푸드코트 37곳 중 21곳 미생물 검출돼
서울 시내 푸드 코트 내 컵에서 미생물이 검출돼 위생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10년 11~12월 서울 시내 37개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푸드 코트 내 컵 위생 상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자외선 살균기 안에 비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21곳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었다. 미생물 오염도는 세균수 검출이 37개 기준 21곳(57%)으로 가장 많았고, 대장균군 8곳(21.6%), 황색포도상구균 1곳(2.7%) 순이었다. 컵 하나당 최대 검출은 일반세균 670마리, 대장균 190마리, 황색포도상구균 40마리로 파악됐다.

◆자외선 살균기 제대로 사용 시 미생물 걱정 없어
식약청 관계자는 “이번에 검출된 결과는 식중독 등을 일으킬 만큼 인체에 위해한 수준은 아니지만, 푸드 코트 내에서 사용되는 컵에 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간접지표”라고 말했다. 실제 자외선 컵 살균기를 제대로 사용할 경우 컵에서 미생물이 대부분 제거되므로 올바른 사용법이 필요하다.

◆자외선 살균기 상단에 위치한 컵이 가장 깨끗
전문가들은 건조된 컵을 자외선 살균기에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건조된 컵 대장균은 99.3%가 제거되고 젖은 컵의 대장균은 74.4%만이 없어진다. 또한 컵은 층으로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 보관된 컵은 자외선을 충분히 쬘 수 있기 때문에 컵은 적당한 간격을 두고 겹치지 않게 두어야 한다. 대장균에 오염된 컵을 자외선 살균기 3단(상단, 중단, 하단)에 보관해 1분 동안 효과를 비교한 결과, 상단에 보관한 컵은 99.9%, 중단은 90.2%의 대장균이 죽었다. 반면, 하단은 16.2%의 대장균만이 제거됐다. 이는 보관방법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층별로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살균기가 효과적이다.

◆소비자, 푸드코트 위생상태 신뢰 못해
한편, 푸드 코트의 위생 실태에 대한 인식도는 소비자와 푸드 코트 종사자 간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소비자는 푸드 코트 내 자외선 살균 소독기의 경우 5점 기준에 2.60점으로 신뢰하지 않았다. 반면 푸드 코트 종사자들은 컵의 청결상태에 대해 소비자 평가보다 훨씬 깨끗하다고 생각해 4.70점으로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