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발 건강 관리
여름은 발에 혹독한 계절이다. 덥고 습해 발에 땀이 많아지면서 각종 세균·곰팡이의 온상이 된다. 발을 바깥에 내놓는 유일한 계절이지만, 발을 보호해주는 양말을 신지 않아 외상 위험이 높다. 샌들·슬리퍼·레인부츠 같은 다양한 여름 신발은 족부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발을 예쁘게 보이기 위해 하는 네일·각질 제거 같은 미용 행위들도 발 건강을 위협한다. 키워드를 통해 여름 발 건강을 지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통풍]
발은 습하면 안 된다. 무좀 균을 포함한 각종 병원균이 활개를 친다. 무좀을 일으키는 피부사상균은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한다. 그래서 무좀(백선증) 환자는 7~8월에 급증하고, 전체 무좀 환자의 약 25%가 이 시기에 무좀 진료를 받는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국대병원 피부과 안규중 교수는 "무좀은 여름철이나 땀 차는 신발을 오래 신는 경우, 목욕탕·수영장을 이용한 후에 잘 걸린다"며 "발을 비누로 깨끗이 씻어 혹시 모를 무좀균이 발에 붙어있지 않도록 하고, 평소 통풍이 잘 되게 해 건조한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네번째 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은 붙어 있어 습하기 때문에 무좀이 가장 잘 생긴다. 발가락 사이를 씻고 타월로 닦은 후 습기가 남지 않도록 완전히 말려야 한다.
![손을 씻는 것처럼 외출 후에는 발도 비누로 꼼꼼히 씻어야 한다. 습기는 잘 말리고 발에도 로션을 바르는 것이 좋다.](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8/07/13/2018071300074_0.jpg)
[세정]
여름에는 발에 땀이 많이 차고 장맛비 때문에 발 위생이 좋지 않다. 안규중 교수는 "발은 대충 물만 끼얹는 경우가 많은데, 외출 후에는 발가락 사이를 비누질 하면서 꼼꼼히 닦아야 무좀균 등으로부터 안전하다"고 말했다. 찜질방·사우나·수영장처럼 맨발로 다니는 공간은 무좀균 전염 위험이 높은 장소다. 무좀균이 섞인 각질 조각을 밟다 보면 발에 붙어 무좀을 일으키게 된다. 안규중 교수는 "찜질방·사우나에서 씻고 왔다고 집에 돌아와 발을 안 씻는 경우가 많은데, 꼭 씻어야 한다"고 말했다.
[각질 제거]
발 각질이나 굳은살이 보기 싫다는 이유로 제거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발에 각질을 무리하게 없애면 피부 보호막이 사라져 오히려 균 침투가 용이해진다. 요즘에는 고농도의 AHA성분을 넣은 발 각질제거 팩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런 팩을 잘못 사용하다 화학적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연세스타피부과 이상주 원장은 "발 각질제거를 한다고 무좀이 없어지지는 않는다"며 "발바닥이 두꺼운 사람이 가끔 각질제거를 하는 것은 괜찮지만, 당뇨병 환자나 피부가 얇은 사람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발톱을 깎을 때도 무리하게 발톱 주변 각질(큐티클)을 제거하려고 하면 안 된다. 발톱과 살에 틈새가 생겨 2차 감염이 될 수 있다.
[보습과 네일아트]
발에도 로션을 발라야 한다. 발이 건조하면 갈라지고 상처가 나기 때문이다. 보습제는 발 전체에 바르되, 발가락 사이는 습하므로 이 부위는 빼고 바르는 것이 좋다. 발톱에 젤네일을 하거나 네일 팁을 붙이는 경우도 많은데, 발톱에 녹농균 등이 번식할 수 있다. 안규중 교수는 "발톱은 단단한 케라틴으로 이뤄져있어 균 침투가 이뤄지지 않지만, 큐티클을 제거하면 그 틈으로 균이 들어갈 수 있다"며 "네일아트를 하더라도 큐티클은 제거하지 말아라"고 말했다.
[상처 점검]
발은 매일 점검해 상처를 살펴야 한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발에 상처가 나면 염증·궤양으로 진행되는 '당뇨발'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조재형 교수는 "당뇨병 환자는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기 때문에 상처가 잘 낫지 않는다"며 "말초 신경세포가 손상돼 감각이 무뎌져 상처가 나도 모른 채 방치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대한당뇨병학회는 당뇨병 환자는 여름에 발을 보호하기 위해 양말을 신으라고 권고한다. 발의 상처·부종·홍반·갈라짐 등을 매일 살피고, 이상이 있으면 바로 주치의와 상담해야 한다.
[신발 선택]
신발은 공통적으로 너무 꼭 끼지 않고 살짝 넉넉해서 통풍이 잘 되며 발이 편한 것이 좋다. 평소 오래 걷거나 서 있는 사람은 여러 켤레 신발을 매일 번갈아 신는 것이 위생상 좋다. 무좀 환자는 샌들이나 슬리퍼가 나쁘지 않지만, 당뇨병 환자는 외상 위험이 있으므로 앞뒤가 막힌 신발을 신는 것이 안전하다. 장마철에 많이 신는 레인부츠는 통풍이 안 되고 땀이 차기 쉬우므로 무좀 환자는 피해야 한다. 하이힐 역시 발가락을 모아놓게 하므로 좋지 않다.
발바닥 근육에 염증이 있는 족저근막염 환자는 샌들·슬리퍼·플랫슈즈 등 바닥이 딱딱한 신발은 피해야 한다. 지면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적절히 흡수하지 못해 병을 악화시킨다. 특히 슬리퍼의 경우 뒤가 트여 힘이 발의 앞부분에만 실려 압박이 더 심하다. 연세건우병원 박의현 병원장은 "족저근막염 환자는 발 전체를 감싸서 압력이 적절히 분산되는 신발을 추천한다"며 "슬리퍼나 샌들을 신어야 한다면 가급적 바닥에 쿠션이 있고, 밑창이 2~3㎝로 두꺼우며, 뒤꿈치가 고정돼 있고, 샌들 끈이 두꺼운 신발을 신어야 한다"고 말했다.
![占쎌쥙�⒳펺�뗭삕占쏙옙�뗭삕占쎈끏已�뜝�뚯쪠占싸우삕占쎈Ŋ�뺝뜝�뚯뒠占쎌궍�앾옙�덉굲�좎럩伊숂뙴�묒삕�좑옙](https://health.chosun.com/img/2023/healthn.png)
-
-
-
占쎌쥙�⒳펺�뗭삕占쎌눘�뺝뜝�덈쾴占쎌뭿�앾옙�덉굲�좎럥�띰옙�얠삕占쏙옙裕∽옙醫롫쑌繹먮쨪�숋옙�좎굲�좎럥�녷뤃占�
�좎럩伊숋옙�쇱삕占쎌눣瑗삣슖�뀀짋占쏙옙占쎌쥙�οℓ癒뀁삕筌먯빖�삣뜝�덈쐠占쎄막�앾옙�덉굲 �좎럥理롥첎�얠삕占쎈챷�뺧옙醫묒삕 占쎌쥙�ο옙類㏃삕占쏙옙�뺝뜝�뚮윪占쎈틹異�첋�몌옙�껋삕筌뤿슣�뺧옙�レ탳占쏙옙 占쎌쥙�⒳펺�뗭삕�섓쭔猿볦삕�용뿭��占쎌쥙�θ굢占쎌삕筌먯빖�삣뜝�덉뒱占쎌닂�숋옙占쎈렊 占쎌쥙�⒳펺�뗭삕�앾옙�귨옙�쒓낯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귣쇀占쎈쵐�뺝뜝�덈열占쎈틶�앾옙��쑋�좎럥踰⑨옙�낅꽞�얜�援� 占쎌쥙�∽옙��삕占쏙옙�뗭삕占쎄퀡裕뗰옙醫롫쑌�댐옙彛ヨ��쒖맶�좎럡�у퐲臾딆땡影���옙恝�숋옙占쎌맶占쎌쥜��
-
-
-
-
占쎌쥙�∽옙��삕占쎌눣瑗사넭怨롫봿援뀐옙醫롫윪占쎌슱�숋쭚�몄맶�좎럥�놅㎖酉대쐻占쎌늿��
占쎄퓭爰귨옙占쎌삕�좎럩�뺝뜝�댢딂눧�섏땡�믭옙�듸옙�곕쭠占쎌빢�숋옙�곕쨯占쎌쥙猷욑옙占�, 5占쎌쥙�⒳펺�귣쇀占쎈쵐�뺧옙醫묒삕 占쎌쥙�⒳펺�뗭삕占쎌럩�뺝쉽占썹몴怨멸뎡�좎럩伊쒙옙占� 占쎌쥙�⒳펺�뗭삕占쎌럩�뺝뜝�⑸쳛占쎈벨�숋옙�뺤뿴�좎룞�숋옙�뗭삕占쎌궡�℡뜝�덈㎜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쏙옙�뺝뜝�덈쾴占쎈틶�앾옙�뉙꼥�좎럥�띰옙�얠삕占쎈뜆留뗰옙醫롫윪占쎄랬�숋옙����좎럩�뽳쭪�㏓쐻占쎈뜃�곩뜝�숉맔占쎌닂�숋옙�밸㎍占쎌쥙�ε첎�쏆삕�좎럩�뺧옙�レ탳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쎈벊彛띸넭怨롫봿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쎄퓭爰귨옙節륁삕占쎌눘�뺝뜝�뚯뒠占쎌궍�앾옙�덉맆占쎌뼚�o옙�낅꽞嚥▲꺃彛�옙醫롫짗占쏙옙
-
-
-
-
占쎌쥙�⒳펺�뗭삕占쎈쓹�뤷뜝�덉탮占쎌옃�얍뜝�뚮쳮�좎럥�띰옙�얠삕占쏙옙�곤옙醫롫윥塋딅뛼�놅옙�ル�嶺뚮ㅏ援�옙�귨옙�쒓낯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쏙옙�뺝뜝�덈쾴占쎈벨�숅넫濡レ뱻�좎룞�숋옙�좏돦�좎럡�� 占쎌쥙�⒳펺�뗭삕占쎈쓹�뤷뜝�덉뒧占쎈ㅇ�앾옙��룫�좎럥�占쎌빢�숋옙�깃뎔占쎌쥙猷욑옙占�, 占쎌쥙�⒳펺�뗭삕占쎌럩�뺝뜝�댢딉옙類앸쐻占쎈슢�ゅ뜝�덊떢占쎌빢�숋옙�뉖춴�좎럡��占쏙옙 占쎌쥙�∽옙�먯삕�좎럥釉뜹뜝�숈삕占쎌뭿�앾옙�덉굲�좎럥踰⑨옙�낅꽞�얜�援� 占쎌쥙�⒳펺�뗭삕占쏙옙�뺝뜝�숈삕占썩뮪�앾옙��쑋�좎럥踰⑨옙�낅꽞�얜�援� 占쎌쥙�⒳펺�뗭삕占쎌럩�뺝뜝�뚮윪占쎈벨�숅넫臾믪굲 �좎럩伊숋옙恝�숅뀎洹μ굲�좎뜫猷쀯옙�k쐻占쎈슢�뚦뜝�덈꺼占쎌늼�ヨ눧誘り뎡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쎈슣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쎈쓹�뤷뜝�덈㎥占쎌뭿�앾옙�덀렏�좎럥�띰옙�얠삕占쎈뜃愿묕옙醫롫짗占쏙옙 占쎌쥙�∽옙�먯삕�좎럥釉띄춯誘↔데筌앾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