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물로 지은 밥, 일반 밥보다 폴리페놀 함량 40배

입력 2017.09.06 08:00

식감 차이 없어… 활성산소 제거도
녹차물 농도 진할수록 효과 증가

녹차물로 밥을 하면 항산화 성분이 40배로 증가한다.
녹차물로 밥을 하면 항산화 성분이 40배로 증가한다./김지아 헬스조선 기자
백미로 밥을 지을 때는 생수 대신 '녹차물'을 넣어보자. 녹차물로 밥을 하면, 체내 활성산소를 없애주는 항산화 성분이 증가하는 건 물론이고 향긋한 녹차향까지 느낄 수 있다. 최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에 발표된 '녹차분말 첨가가 쌀밥의 항산화 활성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 따르면, 밥을 지을 때 녹차물(밥을 할 때 사용하는 물에 녹차 분말 3g을 푼 양)을 넣었더니,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 성분이 크게 증가했다.

연구팀은 백미 200g을 기준으로 정제수만 넣고 지은 밥과 녹차 분말을 각각 1·2·3g씩 풀어서 만든 녹차물로 지은 밥의 항산화 성분 함량을 분석했다. 그 결과, 3g의 녹차분말이 들어간 녹차물로 지은 밥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85.1㎎/100g로 가장 높았다. 이는 정제수(2.1㎎/100g)로 지은 밥과 비교하면 폴리페놀 함량이 40배로 많은 것이다.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녹차 분말이 3g 들어간 밥(32.9㎎/100g)에서 가장 많이 측정됐다. 정제수로 한 밥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0.13㎎에 불과했으며, 2g은 22.6㎎, 1g은 10.1㎎로 측정됐다.

연구팀은 녹차물을 넣은 밥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항산화 활성도(활성산소 제거 능력) 변화도 살폈다. 녹차 분말을 3g 첨가한 밥이 항산화 활성도가 가장 활발했다. 또한 녹차물을 넣었을 때 밥이 질거나 딱딱해지는 등의 식감 변화도 확인했는데, 정제수를 넣은 밥과 녹차물 농도를 달리해서 한 밥 간에 식감 변화나 차이는 없었다. 연구팀은 "녹차물로 밥을 하면, 활성산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만성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