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성조숙증 유발 인공 에스트로겐
시중에 유통되는 생수 5종에서 인공 에스트로겐이 미국환경청의 잠정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됐다. 인공 에스트로겐은 자궁내막증, 성조숙증 등을 유발 할 수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학영 의원은 광주과학기술원 생태평가센터에 의뢰해 실험한 결과, 시중에 판매중인 생수 7종 중 5종에서 미국환경청의 잠정기준치를 넘는 인공 에스트로겐이 검출됐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인공 에스트로겐이 생수를 담은 병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했다.
인공 에스트로겐은 성호르몬 유사작용을 해 성조숙증 등을 유발한다. 성조숙증이 심해지면 성장판 조기 폐쇄, 정신연령과 신체연령의 괴리에서 오는 정서불안, 성격 장애까지 이어질 수 있다. 또 음경을 작아지게 하거나 자궁 기형을 유발하는 등 생식기관을 변형시킬 수도 있다. 불임, 자궁근종, 생리불순, 유방질환 등 여성 질환 위험도 높아진다.
연구진에 따르면, 인공 에스트로겐의 국가별 규제 수치는 아직까지 정해지지 않았다. 위해성 평가 시 적용하는 대표적인 값으로 PNEC(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을 사용하는데 학계공통으로 1 ng/L 를 적용한다.
이 의원은 “미국 환경청에서는 인공 에스트로겐을 발암성 물질로 규정해 수질기준 대상후보군(잠정 인체유해 기준 1.23 ng/L)에 포함시켰다”며 “올해 18억병이 소비된 생수 페트병에서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이 나온 만큼 정부가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