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관관계를 갖지 않고 방 안에 틀어박히는 은둔형 외톨이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학업, 관계, 구직 등에서 실패를 경험한 뒤 은둔을 선택한 청년들이 많다는 사실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지만 청소년들도 많다는 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은둔을 선택한 청소년은 성인이 돼도 비슷한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지원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3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립·은둔 청년은 전체 청년인구의 약 5%에 달하는 54만명이다. 더 우려스러운 건 13~18세 사이 고립·은둔 청소년이 약 14만명으로 추정됐다는 사실이다. 고립·은둔 청소년은 성인이 돼도 비슷한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앞선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4명 중 1명(25%)은 10대 때부터 고립 생활을 시작했다고 답했다.
청소년기에 은둔을 선택하게 되는 원인은 다양하다. ▲학교폭력 등 온라인상 집단괴롭힘의 심화 ▲경쟁적인 교육환경 ▲코로나19 이후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가정환경이나 개인적 기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학교폭력이나 왕따 등의 문제로 청소년기부터 고립감 등 어려움을 겪다가 청년기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계기로 사회와 단절하고 숨게 될 수 있다. 과거에도 학교폭력이나 왕따 문제는 존재했지만, 지금은 폭력이 학교를 넘어 사이버 공간으로 확대되면서 학교폭력 문제는 더 심각해졌다.
은둔의 길로 들어서는 계기는 대학에 입학한 뒤 휴학하고, 군대 갔다 온 이후, 구직에 실패한 뒤 등 매우 다양하다. 부모들은 이런 문제가 청년기에 갑자기 발생했다고 여길 수 있지만 사실 문제가 시작된 시기는 대부분 청소년기다. 고립·은둔 청소년의 조기 발굴이 중요한 이유다.
여성가족부는 이런 고립·은둔 청소년들을 조기에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지난달 시작했다. 학교를 그만 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 교육과 학업 지원, 상담 등을 실시한다는 구상이다. 전국 4만여개의 편의점과도 연대해 고립·은둔 청소년 발굴에 나섰다. 오는 5월에는 고립·은둔 청소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첫 전국단위 실태조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한편,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사회적인 인식 개선도 필요한 상황이다. 은둔형 외톨이는 관련 오해가 많다. 그들이 사람을 싫어할 것이라는 게 대표적이다. 사실이 아니다. 사람을 만나고 싶다는 욕구는 있지만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할지 미숙해서 회피할 뿐이다. 실제 파이교육그룹의 ‘은둔형 외톨이 심층면담 결과’에 따르면 그들은 ‘대화를 나눌 친구나 사람’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듣고 싶은 말은 ‘뭐하냐’는 물음이었고 듣고 싶지 않은 말은 ‘앞으로 어떻게 살래’였다.
은둔형 외톨이가 되기 쉬운 성격 유형이 있다는 것도 편견에 속한다. 은둔형 외톨이는 예민하고 내향적일 거라고 여기기 쉽지만 외향적인 사람도 은둔형 외톨이가 될 수 있다. 또 타인과 교류하지 않을 뿐 간간히 아르바이트를 하는 은둔형 외톨이들도 많다.
은둔하게 된 원인이 설사 정신질환이라 할지라도 조현병, 망상증, 우울증, 범불안장애, 사회공포증, 아스퍼거증후군 등 후보군이 많다. 은둔형 외톨이를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으려는 건 굉장히 위험하고 비효율적인 접근 방법일 수 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3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립·은둔 청년은 전체 청년인구의 약 5%에 달하는 54만명이다. 더 우려스러운 건 13~18세 사이 고립·은둔 청소년이 약 14만명으로 추정됐다는 사실이다. 고립·은둔 청소년은 성인이 돼도 비슷한 문제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앞선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4명 중 1명(25%)은 10대 때부터 고립 생활을 시작했다고 답했다.
청소년기에 은둔을 선택하게 되는 원인은 다양하다. ▲학교폭력 등 온라인상 집단괴롭힘의 심화 ▲경쟁적인 교육환경 ▲코로나19 이후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가정환경이나 개인적 기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학교폭력이나 왕따 등의 문제로 청소년기부터 고립감 등 어려움을 겪다가 청년기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계기로 사회와 단절하고 숨게 될 수 있다. 과거에도 학교폭력이나 왕따 문제는 존재했지만, 지금은 폭력이 학교를 넘어 사이버 공간으로 확대되면서 학교폭력 문제는 더 심각해졌다.
은둔의 길로 들어서는 계기는 대학에 입학한 뒤 휴학하고, 군대 갔다 온 이후, 구직에 실패한 뒤 등 매우 다양하다. 부모들은 이런 문제가 청년기에 갑자기 발생했다고 여길 수 있지만 사실 문제가 시작된 시기는 대부분 청소년기다. 고립·은둔 청소년의 조기 발굴이 중요한 이유다.
여성가족부는 이런 고립·은둔 청소년들을 조기에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지난달 시작했다. 학교를 그만 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 교육과 학업 지원, 상담 등을 실시한다는 구상이다. 전국 4만여개의 편의점과도 연대해 고립·은둔 청소년 발굴에 나섰다. 오는 5월에는 고립·은둔 청소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첫 전국단위 실태조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한편,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사회적인 인식 개선도 필요한 상황이다. 은둔형 외톨이는 관련 오해가 많다. 그들이 사람을 싫어할 것이라는 게 대표적이다. 사실이 아니다. 사람을 만나고 싶다는 욕구는 있지만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할지 미숙해서 회피할 뿐이다. 실제 파이교육그룹의 ‘은둔형 외톨이 심층면담 결과’에 따르면 그들은 ‘대화를 나눌 친구나 사람’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듣고 싶은 말은 ‘뭐하냐’는 물음이었고 듣고 싶지 않은 말은 ‘앞으로 어떻게 살래’였다.
은둔형 외톨이가 되기 쉬운 성격 유형이 있다는 것도 편견에 속한다. 은둔형 외톨이는 예민하고 내향적일 거라고 여기기 쉽지만 외향적인 사람도 은둔형 외톨이가 될 수 있다. 또 타인과 교류하지 않을 뿐 간간히 아르바이트를 하는 은둔형 외톨이들도 많다.
은둔하게 된 원인이 설사 정신질환이라 할지라도 조현병, 망상증, 우울증, 범불안장애, 사회공포증, 아스퍼거증후군 등 후보군이 많다. 은둔형 외톨이를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으려는 건 굉장히 위험하고 비효율적인 접근 방법일 수 있다.
�섎즺怨� �댁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