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퇴근길 대중교통에서뿐 아니라 길 곳곳에서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끼고 있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이어폰과 헤드폰 중 귀 건강에 더 안 좋은 건 무엇일까?
이어폰과 헤드폰은 둘 다 청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지만 상대적으로 이어폰이 더 위험하다. 기쁨병원 이비인후과 김인식 과장은 "이어폰은 좁은 귓구멍을 막고 소리를 내기에 소리 압력이 직접적으로 고막으로 전달된다"며 "이로 인해 고막이나 달팽이관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블루투스 커널형 이어폰(스피커 부분까지 귓구멍 속에 밀어 넣어 착용하는 형태)은 외이도염(외이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 잘 발생할 수 있으며 귀 가려움증이나 진물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노이즈캔슬링 기능이 없는 오픈형 이어폰의 경우 외부 소음 때문에 음량을 계속 키우다 보면 소음성 난청이나 이명을 겪게될 우려가 있다. 헤드폰은 이어폰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귀를 막으면서 소리가 나오는 곳과 고막과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이어폰만큼 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다만 이어폰, 헤드폰 상관없이 음악을 오래, 크게 들으면 난청의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김인식 과장은 "귀 건강을 유지하려면 음악을 1시간 이상 크게 듣지 말고, 볼륨은 외부 소음이 적당히 들릴 정도로만 설정해야 한다"며 "외이도염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커널형 이어폰을 장시간 착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폰과 헤드폰은 둘 다 청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지만 상대적으로 이어폰이 더 위험하다. 기쁨병원 이비인후과 김인식 과장은 "이어폰은 좁은 귓구멍을 막고 소리를 내기에 소리 압력이 직접적으로 고막으로 전달된다"며 "이로 인해 고막이나 달팽이관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블루투스 커널형 이어폰(스피커 부분까지 귓구멍 속에 밀어 넣어 착용하는 형태)은 외이도염(외이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 잘 발생할 수 있으며 귀 가려움증이나 진물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노이즈캔슬링 기능이 없는 오픈형 이어폰의 경우 외부 소음 때문에 음량을 계속 키우다 보면 소음성 난청이나 이명을 겪게될 우려가 있다. 헤드폰은 이어폰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귀를 막으면서 소리가 나오는 곳과 고막과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이어폰만큼 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다만 이어폰, 헤드폰 상관없이 음악을 오래, 크게 들으면 난청의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김인식 과장은 "귀 건강을 유지하려면 음악을 1시간 이상 크게 듣지 말고, 볼륨은 외부 소음이 적당히 들릴 정도로만 설정해야 한다"며 "외이도염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커널형 이어폰을 장시간 착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