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이에 베였거나 물집이 터진 사소한 상처에도 연고를 바르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잦은 연고 사용으로 항생제 내성이 생기면 연고의 효과가 점차 떨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후시딘이나 복합 마데카솔 같은 연고엔 ▲겐타마이신 ▲퓨시드산 ▲무피로신 등의 항생제 성분이 들었다. 상처 내외부의 세균 번식을 억제해 2차 감염을 막는 용도다. 그러나 자주 사용하면 항생제가 듣지 않는 내성균인 ‘비감수성균’이 증식할 수 있다. 실제로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의 내성률을 항생제 연고 성분별로 살펴봤더니, 후시딘 내성률이 44%에 달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피부과학회지에 실리기도 했다.
작은 상처는 물이나 비누로 씻은 후에 밴드를 붙여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피부 상피세포가 상처 부위로 이동해 분열하면 손상된 조직이 저절로 재생되기 때문이다. 밴드를 붙이는 건 상처 부위가 습해야 상피세포가 이동하기 쉬워서다. 이는 딱지가 생기는 이유이기도 하다. 외부 세균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하는 동시에 상처 내부 습기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상처 부위에 침을 발랐다간 침 속의 ▲베일로넬라 ▲나이세리아 ▲포도상구균 등 세균에 감염돼 염증이 생길 수 있으니 삼가는 게 좋다.
항생제 연고는 상처가 균에 감염돼 빨갛게 부었을 때 바른다. 상처가 깊거나 다친 면적이 넓어 아무는데 오래 걸릴 때도 사용한다. 상처가 낫는 속도를 앞당기려면 습윤 밴드를 붙여 상처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게 좋다. 28도 이하에선 상피세포 분열 속도가 느려지니 상처 부위를 따뜻하게 유지해야 한다. 피부가 재생하는 데 오래 걸릴수록 흉터가 생길 가능성도 커진다.
후시딘이나 복합 마데카솔 같은 연고엔 ▲겐타마이신 ▲퓨시드산 ▲무피로신 등의 항생제 성분이 들었다. 상처 내외부의 세균 번식을 억제해 2차 감염을 막는 용도다. 그러나 자주 사용하면 항생제가 듣지 않는 내성균인 ‘비감수성균’이 증식할 수 있다. 실제로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의 내성률을 항생제 연고 성분별로 살펴봤더니, 후시딘 내성률이 44%에 달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피부과학회지에 실리기도 했다.
작은 상처는 물이나 비누로 씻은 후에 밴드를 붙여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피부 상피세포가 상처 부위로 이동해 분열하면 손상된 조직이 저절로 재생되기 때문이다. 밴드를 붙이는 건 상처 부위가 습해야 상피세포가 이동하기 쉬워서다. 이는 딱지가 생기는 이유이기도 하다. 외부 세균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하는 동시에 상처 내부 습기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상처 부위에 침을 발랐다간 침 속의 ▲베일로넬라 ▲나이세리아 ▲포도상구균 등 세균에 감염돼 염증이 생길 수 있으니 삼가는 게 좋다.
항생제 연고는 상처가 균에 감염돼 빨갛게 부었을 때 바른다. 상처가 깊거나 다친 면적이 넓어 아무는데 오래 걸릴 때도 사용한다. 상처가 낫는 속도를 앞당기려면 습윤 밴드를 붙여 상처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게 좋다. 28도 이하에선 상피세포 분열 속도가 느려지니 상처 부위를 따뜻하게 유지해야 한다. 피부가 재생하는 데 오래 걸릴수록 흉터가 생길 가능성도 커진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