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피를 마시면 대변을 보고 싶어진다는 사람이 많다. 커피 마신 후 변의가 느끼는 것은 왜일까?
전문가들은 가스트린 호르몬과 커피에 함유된 클로로겐산 성분의 영향이라고 분석한다. 가스트린은 위 말단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위산 분비와 이자액 생산을 유도하고 위장의 움직임을 유발한다. 그런데 여러 연구에 의하면 커피는 가스트린 분비를 촉진시킨다. 이에 따라 소화가 활발해지면서 배변 활동이 빨리 이뤄지는 것이다. 또 커피에 함유된 클로로겐산 성분은 위산의 생성량과 농도를 높인다. 위산에는 소화효소가 섞여 있어 소화 과정이 빨라지고, 배변에 영향을 미친다. 클로로겐산은 일반 커피뿐 아니라 디카페인 커피에도 들어 있어 디카페인 커피를 마시고 난 후에도 변의를 느낄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커피가 소화를 돕고, 변비 해소에 좋다고 생각해선 안 된다. 소화에는 일정 시간이 필요한데, 커피로 인해 과정이 빨라질 경우 음식이 제대로 소화되지 않아 위장에 무리가 될 수 있다. 또 커피 속 카페인과 지방산 등의 물질이 위장을 자극하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공복에 마시거나 하루 세 잔 이상 마시는 것은 피하도록 한다.
의료계 뉴스
